산업 바이오

암환자 10명중 7명 "영양불량"

우리나라 암 환자 10명 중 7명이 영양불량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과 폐암환자의 영양불량 비율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위경애 국립암센터 임상영양실장과 정효지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지난해 국립암센터 입원 환자 1만4,678명을 전수 조사한 결과 암 환자의 34.7%가 '심한 영양불량', 30.1%가 '영양불량'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국내 6대 암 가운데 간암과 폐암 환자의 영양불량 비율이 각각 87.3%, 71.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위암(70.3%), 자궁경부암(61.4%), 대장암(60.6%), 유방암(46.1%)의 순이었다. 심한 영양불량 상태는 이상체중 대비 몸무게가 80% 미만이거나 영양상태의 지표인 알부민과 총림프구 숫자가 각각 ㎗당 2.8 미만, ㎣당 1,200개 미만인 상태를 가리킨다.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의 체중이 평소보다 6% 이상 줄면 면역력이 떨어지고 항암제ㆍ방사선 치료의 부작용 가능성도 커져 재발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암 환자의 20%는 영양실조로 숨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에서 '암환자를 잘 먹이는 것은 암세포에게 영양을 공급해주는 것'이라거나 '고기를 먹으면 안 된다' 등의 근거 없는 속설이 퍼져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위 실장은 "미국과 일본에서는 영양불량 상태의 암환자를 찾아내 적극적으로 영양을 공급해주고 있다"며 "적극적인 영양관리가 항암치료 효과와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