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하반기 수출, IT 이끌고 선박·자동차 밀고"

무협 "반도체·휴대폰 등 호조 지속"

우리 수출이 올해 하반기 반도체, 휴대폰 등 정보기술(IT) 품목의 수출 호조 지속과 선박 및 자동차의 수출 회복으로 연간 3.6%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2013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전망’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한 2,913억 달러, 수입은 8.5% 증가한 2,772억 달러, 무역수지는 141억 흑자를 기록하면서 ‘상저하고’의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수출단가 회복 지연과 하반기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시사에 따른 경기 둔화 가능성, 중국의 중(中) 성장 기조 등 여러 하방 요인에도 불구, 수출 주력품목의 선전으로 연간 수출은 3.6% 증가, 수입은 2.9% 늘어나 연간 단위로는 무역흑자 33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품목별로는 지난 해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던 선박 수출이 하반기부터 해양플랜트 수출 본격화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도 상반기 노조파업으로 말미암은 공급불안이 해소돼 연간 3.8%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호조세를 보였던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 공급부족에 따른 단가상승으로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상반기 30% 이상 높은 증가율을 보인 무선통신기기도 3ㆍ4분기 플래그십 모델 출시에 힘입어 높은 증가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IT 품목 중 디스플레이는 지난 해와 같은 런던 올림픽, 유로 2012 등의 특수가 사라져 하반기에는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 제품은 합성수지 수출 확대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수출단가가 하락한 석유제품과 공급과잉으로 시황이 부진한 철강 수출은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무역연구원 관계자는 “상반기 우리 수출은 소폭의 증가율을 기록하는데 그쳤으나 여전히 세계 수출 7위를 유지하고 있다”며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으로 신흥국 수요가 영향을 받고 최근 상승한 환율이 향후 다시 하락할 경우 하반기 우리 수출의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