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로존 긴축 속도조절 불가피

부양 요구 갈수록 거세… 메르켈 시험대

이탈리아 총선에서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저변의 광범위한 반긴축 정서가 확인됨에 따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주도하는 긴축정책의 속도조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재정개혁과 구조조정이라는 큰 틀에는 변함이 없겠지만 긴축과 더불어 성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27일(현지시간) 경제논평을 통해 "이탈리아에 어떤 연정이 들어서더라도 해외 투자가들이 원하는 개혁기준을 이행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긴축을 강조해온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에게 타격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CNN머니는 2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사태가 유럽 전체를 뒤흔들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긴축정책을 이어갈) 힘이 워낙 부치기 때문에 개혁속도와 수위조절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이탈리아 사태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스페인의 루이스 데 긴도스 재무장관도 이날 "긴축기조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내년에는 긴축과 부양을 병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오는 2015년까지의 중기계획안을 4월1일까지 유럽연합(EU)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랑스 재무장관 출신으로 아토스오리진의 최고경영자(CEO)인 티에리 브레통도 "개혁지속이 중요하지만 시간이 필요하다"며 "그렇지 못하면 모든 유럽국이 이탈리아처럼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씨티그룹의 뉴욕 소재 외환전략 책임자인 스티븐 잉글랜더도 "이번 이탈리아 선거는 (유로위기 타개를 위한 노력에) 처음으로 역행한 것"이라며 "긴축반대 세력을 지지한 이탈리아 유권자들의 정서는 유로존으로 전이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과 같은 긴축 일변도의 정책을 고수하다가는 자칫 유로존이 깨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AP통신은 "정부 긴축책에 대한 반발이 거대한 표심으로 이어진 것은 환가치가 높은 단일 유로존에 묶이며 실질적인 성장안을 도출하기가 더 어렵기 때문"이라며 "(위기가 프랑스ㆍ영국 등 점차 강대국으로 번지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통화동맹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 역시 증폭되고 있다"고 전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