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반도체ㆍ전자 '맑음' 건설ㆍ섬유 '흐림'

4분기 업종별 경기전망<br>전자등 내수부양속 수출 증가세도 지속…원자재난 여파 섬유등 침체 못벗어날듯

오는 4ㆍ4분기 국내산업의 경기전망에서 반도체ㆍ전자ㆍ일반기계 등의 업종은 호조세를 보이는 반면 건설ㆍ섬유ㆍ철강 등은 내수침체가 확산되면서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3일 대한상공회의소와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요업종 협회를 대상으로 4ㆍ4분기 산업별 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반도체ㆍ전자 등은 소득세ㆍ특소세 인하 등 정부의 내수경기 부양정책과 중국ㆍ동남아 지역 수출의 지속적인 증가로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설ㆍ섬유ㆍ철강 등은 고유가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중국산 저가제품의 유입 증가, 부동산경기 침체 지속 등의 여파로 불황의 늪을 헤어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4ㆍ4분기 내수는 자동차 업종이 신차 출시효과 등으로 3ㆍ4분기(1.1%)에 비해 큰 폭의 증가(8.1%)가 예상되고 전자(12.1%)ㆍ일반기계(4.3%) 등의 업종도 전분기에 비해 다소 둔화되기는 하지만 매출 증가세는 이어갈 전망이다. 반면 전통 내수업종인 섬유ㆍ건설업종은 가계부채 증가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매출이 각각 24.5%, 3.7% 감소하며 하향곡선을 그릴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반도체(18.0%)ㆍ일반기계(15.8%)ㆍ전자(13.5%) 등 대부분 업종에서 매출이 늘어나겠지만 중국 긴축정책, 고유가 지속 등 불확실한 대외여건으로 3ㆍ4분기에 비해 증가율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자동차는 미국의 금리인상 여파에 원ㆍ달러 강세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12.6%나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전경련의 조사에서도 4ㆍ4분기에 호조세를 보일 수 있는 업종은 전체 20개 업종 중 타이어ㆍ전자ㆍ반도체ㆍ기계ㆍ석유화학 등 5개 업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고 섬유ㆍ화섬ㆍ전기ㆍ방직ㆍ시멘트ㆍ공작기계 등 8개 업종은 지난해보다 실적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수출에서도 화섬(-8%)ㆍ자동차(-14.9%)ㆍ방직(-2.1%)ㆍ제당(-4.6%) 등의 실적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