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영변 핵시설 공사 재개 확인

美 웹사이트 "위성사진에 건설 활동 잡혀"

북한이 조만간 핵무기 원료인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는 원자로를 재가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북한 관련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는 북한이 영변 핵시설의 원자로를 재가동하려는 목적으로 공사를 재개했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북한의 원자력총국 대변인은 2일 "우라늄 농축 공장 등 영변의 모든 핵시설과 함께 2007년 10월 6자회담 합의에 따라 가동을 중지하고 무력화했던 5㎿ 흑연감속로를 재정비 및 재가동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38노스의 북한 전문가인 닉 핸슨과 제프리 루이스는 "2월 상업위성이 촬영한 위성사진 영상에는 공사 흔적이 포착되지 않았으나 3월27일 영상에서는 경수로 주변에서 새 건설 활동이 잡혔다"고 말했다. 38노스 측은 해당 공사가 2월 초~3월 말에 시작됐으며 북한이 핵시설 재가동 공식 선언 이전부터 공사에 착수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 공사는 무력화된 냉각시설을 복구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관련기사



북측의 이번 공사는 감속로가 있는 건물 뒤편과 주변 도로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냉각시설과 관련된 굴착 활동이 포착되고 있다. 감속로와 옛 냉각탑을 연결하는 송수관을 지하에 묻는 방식으로 진행돼 보조 냉각 시스템을 실험용 경수로(ELWR)가 있는 펌프실로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시리아에 건설해줬던 원자로에서와 마찬가지로 냉각탑 없이도 물을 냉각수로 활용해 원자로를 가동할 수 있는 방식을 도입한 것으로 관측된다.

38노스 측은 "파괴한 냉각탑을 새로 지으려면 최소한 6개월이 걸리지만 보조 냉각 시스템을 활용하면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하는 데 걸리는 기간을 몇 주 이내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며 "이 흑연감속로가 일단 가동되면 북한은 폐연료봉에서 매년 6㎏의 플루토늄 생산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