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명박 "검증의혹 정면돌파"

고소취하등 놓고 의견 분분…李 결단 주목


부동산 투기 등 각종 검증의혹 제기로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 측의 위기돌파 전략은 무엇일까. 캠프 측은 우선 검증의혹에 대해 ‘정면돌파’를 기본으로 의혹제기 과정에서의 정권개입 사실을 적극 부각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이와 별도로 실효성 있는 경제정책 공약을 내세워 경선 이후의 본선까지 ‘경제 전문가’ ‘준비된 후보’로서의 이미지를 유권자들에게 각인시킨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정면돌파라고는 하지만 이 후보가 직접 나설지,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 어디까지 일일이 대응해야 하는지 등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는 캠프 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결국 문제의 해답은 진실을 알고 있는 이 후보 본인의 결단에 달려 있다. ◇검증공방 정면돌파로 가닥=캠프 측은 10일 당 지도부의 검찰 고소 취하 종용에 대해 내부논의를 했으나 “검찰 수사를 통해 차제에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는 법률지원단 중심의 정면돌파론자들과 “수사가 정략적으로 흐를 수 있다”는 온건론자들의 의견이 맞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당장 고소를 취하할 경우 “의혹을 인정하게 된다”는 캠프 내 비판여론이 상당한 힘을 얻고 있으나 당 화합 차원을 고려해 고소를 취하하자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이 후보 측이 검증의혹에 대해서 무대응 전략에서 벗어나 정면돌파로 가닥을 잡은 것은 최근 캠프 내의 자체 여론조사와 언론 여론조사에서 여전히 30% 후반대의 견고한 여론지지가 유지되고 경쟁자인 박근혜 후보 측과 10% 이상 격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또 어차피 오는 19일 당의 후보검증 청문회와 이후의 지방순회 합동연설회, TV토론 등의 경선일정을 고려할 때 박 후보 측의 검증공세에 어떤 형태로든 매듭을 지어야 한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이와 함께 ‘경부운하 정부보고서 유출 사건’ 경찰조사 결과, 박 후보 측 유승민 의원에게 보고서가 사전 유출됐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을 계기로 잇따른 의혹제기 과정의 정부개입 사실을 부각시키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특히 ‘이명박 죽이기’를 위해 박 후보 측과 정부 측이 ‘공조’했다는 의혹까지 제기하면서 그동안의 수세에서 공세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박희태 경선대책위원장이 이날 “우리 정치사에서 찾아볼 수 없는 초유의 사태로 한탄스럽다"고 비판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정면돌파의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당장 검찰고소 취하에 나타났듯이 캠프 내에서는 강ㆍ온 양론이 있는데다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도 구체적인 방법이 확정되지 않았다. 여기다 당내 논란의 격하에 대한 비난 여론도 이 후보 측으로서는 부담이다. 강재섭 대표가 이날 “더 지나친 일이 생기면 당에서 축출한다든지 제명한다든지 이런 일도 있을 수밖에 없다"며 “당이 정권창출을 못하도록 자살골을 넣는 분이 있다면 그런 분들은 축출해야 한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비난여론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제 근본적인 해법은 신(The God)과 국민 앞에 이 후보 자신이 진실을 토로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여론이 적지않다. ◇본선 겨냥한 정책 행보도 활성화=이 후보 측은 최근 캠프 내 논의를 통해 검증공방 속에서 실종된 이 후보의‘경제대통령’ 이미지 제고를 위해 정책공약 발표 등을 정례화하는 등 정책 행보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이는 박 후보 측과 ‘한반도 대운하’와 ‘부동산ㆍ차명재산 관련 의혹’ 등 지나치게 협소한 분야의 공방을 거듭해 본선 경쟁력에 일정도 차질을 빚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 같은 정책행보의 일환으로 지난 9일 부동산 취득ㆍ등록세 통폐합, 법인세 20%로 인하 등의 감세공약을 내놓았다. 이 후보 측은 앞으로도 ‘신혼부부 1주택’등 부동산 관련 공약 등 정책공약을 한 주에 1~2회씩 정례적으로 발표하기로 했다. 캠프 정책팀의 한 관계자는 “검증공방에 정면대응하면서도 ‘이명박다움’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정책과 정견을 내놓아야 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