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직업 갖는 이유 물어보니…

● 직업능력개발원 실태조사<br>1998년엔 "가족을 위해"… 2008년엔 "경제적 자립"

직업을 갖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10년 전에는 '가족을 위해'였지만 최근에는 '경제적 자립'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14일 263개 기업의 근로자 6,053명과 경영자 247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실시한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실태 조사'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중 연도별 비교가 가능한 근로자들의 직업의식을 지난 1998년 및 2002년 조사와 비교한 결과 개인주의적 성향이 갈수록 두드러졌다. 직업을 갖는 첫 번째 이유가 1998년 조사에서는 '가족을 위해' 였으나 2002년과 2008년에는 '돈을 벌어 경제적으로 자립하기 위해'로 앞섰다. '돈을 벌어 경제적으로 자립하기 위해'라는 항목의 점수(4점 만점 척도)는 1998년 3.21점, 2002년 3.33점, 2008년 3.44점으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불안한 고용 상황을 반영한 듯 '노후 대책을 위해'라는 항목에 대한 공감 역시 1998년 3.01점에서 2008년 3.21점으로 올라갔다. 이와 대조적으로 '가족을 위해'라는 항목의 호응도는 1998년 3.31점, 2008년 3.30점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고 '일 자체가 좋아서'라는 응답은 이보다도 현격히 낮은 2.63∼2.67점 수준에 머물렀다. 개발원의 한 관계자는 "직업의 내재적 가치와 구성원으로서의 가족·사회에 대한 기여 등의 의식은 약화되고 개인적·경제적 성취주의를 앞세우는 방향으로 직업의식이 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