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최전방 철책 '그물망' 감지시스템 설치

녹색 光그물 철책에 덧씌워..북한군에 '노출'

최전방 철책에 광(光)그물망을 덧씌운 방식의감시.경계시스템이 설치된다. 방위사업청은 23일 전방 5사단 지역의 GOP(지상관측소) 경계방식을 과학화 경계시스템체제로 전환하는 시범사업을 위해 ㈜에스원과 사업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업체는 녹색의 광그물망을 철책에 덧씌운 방식의 감시.경계시스템을 제안했다. 광그물망이 설치된 철책 상단에는 200m 간격으로 저조도카메라를 부착해 낮에는1km 이상, 밤엔 200m 이상 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자동으로 감지해 인근 소초에신호를 보내준다. 특히 중대본부가 있는 자리에는 낮 2km 이상, 밤에 400m 이상 떨어져 움직이는물체를 감지하는 고성능카메라가 부착된다. 카메라가 물체를 포착하거나 철책에 설치된 광그물망에 침입자의 신체가 닿으면신호가 울리고 즉각 카메라가 해당 지점을 촬영해 대대 지휘통제실과 소초 등으로영상을 보내도록 설계됐다. 방위사업청은 41억원을 들여 8월까지 이 시스템을 설치한 뒤 시범운용해 그 결과를 오는 10월 국회에 보고할 계획이다. 시범사업의 성과가 좋으면 내년부터 2011년까지 956억원을 투입해 155마일 철책에 모두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시범사업이 끝난 뒤 다른 사업자를 선정할지 여부는 아직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GOP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전면 구축될 경우 전방 철책 경계근무 인력을 대폭 줄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광그물망 방식의 감시.경계시스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많다. 철책에 그물망을 설치하면 북한군에 쉽게 노출될 뿐 아니라 적대감을 고조시켜군사신뢰 구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개성공단사업과 금강산 관광사업 등으로 서.동부전선의 철책이 열리고있는 상황에서 은폐되지 않은 또 하나의 '장애물'을 설치하는 것은 변화하고 있는남북관계 분위기에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없지 않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은폐되지 않는 감시시스템을 설치하면 적이나 침입자 모두에게 '경계심'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며 "GOP 경계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