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PBOC가 지난주 사흘 연속 단기 유동성 조작(SLO)을 통해 3,000억위안(약 52조원) 이상을 자금시장에 수혈했으나 은행간 단기 자금 조달시장의 금리 폭등을 제어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들 매체는 그 증거로 중국 은행간 자금시장 추이를 반영하는 7일짜리 레포(환매조건부채권) 금리가 23일 8.94%로, 지난 20일의 8.21%에서 더 뛰어오른 사실을 지적했다. 레포금리는 23일 한때 10%까지 치솟았다.
중국이 단기 자금 소요를 겪었던 지난 6월21일 레포금리는 9.29%를 기록한 바 있다.
FT는 중국 단기 자금 시장이 6개월 사이 두 차례 유동성 경색 소요를 겪는 것은 디레버리징(차입청산)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보여준다며 따라서 앞으로 금융시장의 고통이 가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PBOC가 시장이 통화완화책으로 오해할 수 있는만큼 선뜻 유동성 공급에 나설 수도 없는 상황으로 보고있다. 미즈호 증권의 선젠광 이코노미스트는 “인민은행이 딜레마에 빠졌다”고 말했다.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 채무 비율은 5년 전 130%였으며 현재 약 200%까지 높아지며 금융부실 우려를 키우고 있다.
WSJ는 중국 자금시장에 1조 5,000억 위안 이상의 자금이 과다하게 풀려 있다는 점을 PBOC가 강조했다고 전했다. 문제는 이런 잉여 자금이 은행 간에 제대로 유통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WSJ는 지적했다.
PBOC가 이전처럼 금리 결정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것도 한계라고 WSJ는 덧붙였다.
신문은 지난 6월 자금 경색소요 당시 일부에서 제기한 디폴트(채무 불이행) 우려가 뒤늦게 확인됐다면서 그 예로 중국 광대은행이 당시 65억 위안을 하루 늦게 결제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FT는 중국 공산당 선전부가 경제매체 등 일부 언론에 시중 자금 경색 보도의 수위를 낮추라는 지침까지 내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