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 집이 있는 새 내각의 몇몇 장관들과 대통령 참모들이 거처문제로 고민이다.
28일 각 부처와 청와대에 따르면 지방 출신으로 서울에 근거지가 없는 김두관 행자, 권기홍 노동, 허성관 해양수산 장관과 청와대 문재인 민정수석과 이정우 정책실장 등이 근무지 인근 호텔이나 오피스텔에서 `홀아비 생활`을 하거나 친척이나 지인들의 집에 `더부살이`를 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이들중 상당수는 이미 인수위때 두달 가까이 인수위 인근 공동숙소에서 기거해 온 터라 객지생활에 따른 피로가 누적돼 안정적인 직무수행을 위해 하루빨리 방을 얻어야 할 처지다. 실제로 이날 오전 청와대 수석ㆍ보좌관 회의에서도 노무현 대통령이 회의에 앞서 문수석에게 “지금도 밖에서 주무신다면서요”라며 관심을 표명하기도 했다. 문수석의 경우 현재 처가 등을 떠돌고 있고, 이 정책실장은 호텔 등에서 생활하고 있다.
권 노동장관의 경우 부인 서정희씨가 대구에서 중증장애인 복지시설인 `더불어복지재단`에 힘을 쏟고 있어 상경이 곤란해 현재 호텔에 묶고 있으며 당분간 `홀아비 생활`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경남 남해에 집이 있어 서울생활은 민통련 활동후 16년만이라는 김 행자장관은 일단 급한대로 서울 목동 친구집에 팩시밀리와 행정전화를 설치해 기거하고 있다. 허성관 해양수산부 장관은 서울 연희동 아들집에 얹혀 살고 있어 그나마 낫지만 조만간 부인이 상경해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관련부처 등은 임시 숙소를 전세나 월세로 빌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혹시 장관 숙소를 마련하는 게 새 정부의 `개혁분위기`에 역행하는 것으로 비쳐지지나 않을까 고민이다.
노동부의 경우 지방노동청장과 지방노동사무소 직원들을 위해 직원숙소 임대비 등이 매년 예산에 반영돼 있어 관련절차를 밟은 뒤 장관숙소를 얻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행자부는 지난 91년 이상연 내무장관 당시 성북동에 집을 월세로 빌려 관사처럼 사용한 적이 있지만 당시 월세가 1,000만원에 달해 호화관사라는 비난이 일자 후임 이동호 장관 때부터 없앴다. 이들 부처는 한결같이 장관이 개인자격으로 집을 얻어 가족이 함께 이사오는 게 제일 좋지만 자녀 학교나 부인 직장 등으로 이사가 어려울 경우 부처 차원에서 전세집을 구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어차피 서울에서 집 구하기가 만만치 않아 새 정부 장관ㆍ참모들의 고된 `객지생활`은 당분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박동석,최석영기자 sychoi@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