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전자책시장 7,000억 규모로 키운다

문화부, 5년간 600억 투입<br> 콘텐츠 창작·공급기반등 구축<br> 전자출판 선도국으로 도약


현재 1,300억원(2009년 기준) 규모인 국내 전자책 시장을 오는 2014년까지 7,000억원 규모로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단말기 제조에서부터 소프트웨어산업, 무선데이터산업, 인터넷TV(IPTV) 등 다양한 연관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6일 2014년까지 5년간 600억원을 투입해 1,300억원 규모인 국내 전자책 시장규모를 7,0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해 전자출판 선도국가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담은 '전자출판산업육성방안'을 발표했다. 문화부는 이를 위해 ▦전자출판산업 기반구축 ▦콘텐츠 창작 및 공급기반 확충 ▦전자출판 유통시스템선진화 ▦전자출판 기술혁신 및 표준화 ▦디지털 독서문화확산 등 5대 전략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유인촌 문화부 장관은 "전자출판산업은 출판 콘텐츠를 중심으로 연관 관계가 밀접한 신성장동력산업이자 친환경녹색산업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그간 성장 장애요인으로 지적됐던 문제들을 해소해 신성장산업으로 키워나가겠다"고 밝혔다. 문화부는 우선 산업기반 구축차원에서 종이책 중심으로 이뤄진 각종 법률과 규제 등을 디지털환경에 맞게 정비하고 범부처 협력을 위해 전자출판진흥협의회를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 문화부는 이를 위해 기금과 세제지원을 실시하며 1,000명의 전문인력을 육성하기로 했다. 콘텐츠 창작 및 공급기반 확충차원에서는 매년 1만건의 우수전자책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고 디지털신인작가상 제정, 전자출판 1인 창조기업 지원 등을 전개하기로 했다. 또 원활한 콘텐츠 관리와 수급을 위해서는 파일포맷과 메타데이터 등 핵심 분야 표준화 등 기술혁신 및 표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유 장관은 "전자출판물을 통한 디지털 독서문화 확산을 위해 2014년까지 국립중앙도서관이 24만여건의 전자책을 확보하고 공유저작물 1만5,000여건을 전자책으로 변환하는 등 읽기 문화를 적극적으로 확산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세계 전자출판 산업은 연평균 27.2%씩 성장해 2014년에는 82억6,000만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산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