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온기 돌던 부동산시장도 급랭

[추락하는 건설산업]<br>중견 건설업체 줄도산 공포 현실화<br>공급감소·수요위축 복합 침체 우려<br>"우량 PF 정부보증등 대책 서둘러야"

"LIG건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을 계기로 금융권이 돈줄을 더 조일 가능성이 높아 새 아파트 공급계획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A건설 주택영업담당 임원) 중견 건설업체들의 줄도산 공포가 현실화되면서 부동산시장에도 팽팽한 긴장감이 돌고 있다. 공급감소와 수요위축에 따른 복합적 시장 침체가 우려되고 있는 탓이다. 우선 공급자인 건설사 입장에서는 공급 연기 또는 축소를 검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위기설'이 돌고 있는 중견업체 중에는 아예 올해 공급을 포기하겠다는 곳마저 나오고 있다. 건설사가 불안하면 수요심리도 흔들린다. 분양보증제도가 있지만 시공사가 위기를 맞을 경우 이자부담이 늘어난다거나 입주가 늦어지는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청약심리가 위축되기 때문이다. 사실 연초만 해도 시장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부산 등 지방시장을 중심으로 청약열기가 살아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격적인 분양계획을 세운 건설사도 적지 않았다. 지방시장의 온기가 수도권으로 확산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하지만 진흥기업의 부도위기에 이어 LIG건설이 법정관리라는 카드를 선택하면서 주택시장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졌다는 게 건설사들의 한결같은 고민이다. 각 건설업체들은 무엇보다 금융권의 반응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 중견 건설사 주택담당임원은 "웬만한 주택건설업체는 보통 1조~2조원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안고 있다"며 "LIG건설처럼 채권단이 만기연장을 해주지 않으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외에는 어쩔 도리가 없지 않느냐"고 전했다. 새로운 사업을 벌이고 싶어도 금융권의 눈치부터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청약수요가 움츠러들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김규정 부동산114 부장은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건설사들의 위기 소식을 악재로 받아들여 청약통장을 아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특히 이달 중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예정대로 종료되면 중견업체들의 위기상황과 맞물려 시장 분위기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뜩이나 위축된 공급시장이 다시 한 번 쪼그라들 수 있다는 게 건설사들의 우려다. 실제로 LIG건설의 경우 올해 2,062가구를 공급할 계획이었지만 모두 분양시기가 불투명해졌다. 중견 H건설사는 하반기 예정이던 김포한강신도시 아파트 공급을 원점에서 검토하기로 했으며 중견 D건설사 역시 설계변경까지 마친 분양 예정단지의 공급일정을 미루기로 했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송현담 주택건설협회 정책본부장은 "우량한 PF대출은 정부가 보증을 서 만기를 연장해주는 방법을 검토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