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경기] 건설업체 '중도금 대출확보' 비상

주택담보대출 규제 조짐에 "청약열기 꺼질라" 전전긍긍


건설업계에 ‘아파트 중도금 대출확보’ 비상이 걸렸다. 최근 은행권이 건설사에 대한 아파트 중도금 대출의 가산금리를 올리고 아파트 당첨자의 계약금액을 늘릴 것을 요구하는 등 대출심사를 까다롭게 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하면 중도금 대출확보가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아파트 당첨자의 자금부담 증가로 이어져 간신히 살아나고 있는 아파트 청약열기에 찬물을 끼얹을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올 하반기 수도권에서 분양을 준비 중인 중견 건설업체 S사는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계약금을 분양대금의 5%로 설정하려다 어쩔 수 없이 10%로 증액하기로 했다. 계약금을 10%로 늘리지 않으면 중도금 대출을 해줄 수 없다는 은행의 요구 때문이었다. 또 다른 건설회사인 B사는 지난해까지 CD금리에 0.5~1.5%의 가산금리가 붙는 정도에서 중도금 대출자금을 마련했지만 최근에는 가산금리가 3.5% 이상으로 높아졌다.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하면 가산금리가 더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그렇게 되면 당첨자에게 부담을 전가하게 돼 분양시장이 다시 얼어붙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오는 9월 서울에서 재건축아파트 일반분양을 준비하고 있는 N사는 최근 당초 고려하지 않았던 이자후불제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해당 사업지의 입지가 좋아 중도금 대출만 해주면 무난하게 아파트 분양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다 은행권의 중도금 대출규모 축소라는 악재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은행이 전체 분양가의 40% 정도밖에 대출해줄 수 없다고 알려와 이자후불제라는 유치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대출한도가 줄면 계약자 입장에서는 잔금을 납부할 때 목돈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투자를 꺼릴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우려했다. 미분양이 많은 업체의 분위기는 더 심각하다. 금융권의 움직임과 말 한마디 한마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수도권 북부지역에 상당수의 미분양아파트를 보유한 S사의 한 관계자는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면서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담보인정비율(LTV)이 60%로 상향 조정되면서 대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늘어났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못 미치는 자금만 대출 받고 있다”며 “지금도 어려운데 대출규모를 더 줄이면 아예 미분양을 떠안으라는 얘기나 마찬가지”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 회사는 대출규제에 들어가면 회사채 발행이나 제2금융권 차입으로 대출금을 마련할 계획이지만 이자부담이 크게 불어나 걱정이 태산이다. 한편 정부는 부동산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해 자금흐름을 면밀히 살피면서 대출규제 강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금융권은 이미 대출규제 절차에 돌입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분양률이 낮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업지에 대해서는 LTV를 기존 60%에서 40~50%로 낮추고 대출심사도 강화할 계획”이라며 “미분양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방이나 시공능력ㆍ신용등급 등이 낮은 시공사가 맡은 사업지 등이 주대상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