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 입학할 딸을 둔 박모(35)씨는 판교신도시 삼평동의 혁신학교를 배정받을 수있는 인근 아파트단지 전세물건을 알아보다 깜짝 놀랐다. 지금 살고 있는 집과 멀지도 않고 면적도 비슷한데 전셋값이 1억원 가까이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박씨는 "부모들의 생각은 다 비슷한가 보다"며 "값도 비싼데다 중개업소에서 물건도 귀해 전셋집 구하기가 쉽지는 않다는 설명을 들었다"고 말했다.
부동산시장의 학군수요 지형도가 바뀌고 있다. 서울 대치동ㆍ목동 등 이른바 명문학군으로 불리며 인기를 끌었던 곳이 약세를 보이는 반면 혁신학교 주변의 신흥학군 수요가 늘면서 '다핵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정태희 부동산써브 부동산연구팀장은 "대학입시제도가 바뀌고 학원 등 전통적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면서 학군수요 지역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학원들이 밀집한 강남구 대치동, 노원구 중계동, 양천구 목동 등 전통적 학군수요 지역의 부동산시장이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목동신시가지 7단지 122㎡형 전셋값은 3억8,000만원 안팎으로 지난해 9월보다 2,000만원 이상 떨어졌으며 중계동 주공5단지 104㎡형도 최근 2억7,000만원선으로 3개월 만에 1,000만원 이상 하락했다. 이들 지역은 유명 학원이 밀집해 있어 겨울방학이면 수강하러 온 지방 학생과 입시에 유리한 학교로 진학하려는 수요가 겹치면서 전셋값이 뛰던 지역들이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이런 수요가 확연히 감소하고 있다. 대치동 E공인 관계자는 "수요가 완전히 죽은 것은 아니지만 예년보다 못한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반면 전반적인 전세시장이 안정을 보이는 가운데서도 전셋값이 눈에 띄게 오르는 지역들도 있다.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우림루미아트 84㎡형은 최근 1억9,000만원 정도에 전세매물이 나왔다. 지난해 가을보다 1,000만원가량 올랐다. 판교신도시 봇들마을 7단지 84㎡형 전셋값도 4억5,000만원 정도로 계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인근에 혁신학교가 있어 초등학생 자녀를 둔 수요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판교신도시 G공인 관계자는 "자녀를 혁신학교에 보내기 위해 봇들마을 7~10단지 아파트를 찾는 사람들이 꾸준하다"며 "인근의 다른 아파트단지와 비교해서도 전세ㆍ매매가격이 높게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학원가와 유명 초중고교가 있는 서초구 반포동 일대 전셋값도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포 한신1차와 잠원 대림아파트 거주자들의 이주로 전셋값이 오르는데다 학군이 좋아 다른 지역으로 가는 사람들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인근 D공인 관계자는 "이주 수요로 전셋값이 오르는 상황에서 학군이 좋다 보니 멀리 이사하려는 사람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현상은 바뀐 교육제도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광역학군제가 실시되면서 굳이 해당 지역에 거주할 필요성이 줄어든데다 대학입시에서 내신 비중이 높아지면서 '명문고'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팀장은 "수시입학제도 등 내신성적으로 대학을 갈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지면서 경쟁이 심한 강남권 명문고에 대한 선호도가 많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사교육 소비행태 변화도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인터넷과 방송 등을 통해 양질의 사교육 서비스를 받을 기회가 늘면서 굳이 집값이 비싼 학원밀집 지역을 고집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또 예전과 달리 부모들이 초중학교를 고등학교보다 중요시하면서 명문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학군수요가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것도 기존의 학군수요 지형도를 바꾼 원인이 되고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학군수요 다핵화 현상은 교육제도에 큰 변화가 없는 한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