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LG硏 "부모세대 은퇴 준비기간 8년"

지난해 기준 부모 세대의 은퇴 준비기간은 8.7년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은퇴 준비기간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현 추세대로라면 오는 2030년에는 3.4년까지 축소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 이지선 연구원은 14일 `캥거루 자녀, 부모의 은퇴 준비기간 단축시킨다' 보고서에서 "자녀의 독립시기, 은퇴연령,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을 이용해 계산한 결과 자녀 독립 후 은퇴를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은 지난해 기준 8.7년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이는 동일한 분석으로 계산한 일본(12.4년)이나 미국(15년)보다 짧은 기간이다. 이 연구원은 "선진국은 자녀의 교육비나 결혼 자금에 대한 부담 적어 자녀 취업 이전에도 미리 은퇴를 준비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부모 세대가 은퇴 준비에 더욱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본격적인 은퇴 준비기간은 1995년 10.3년에서 2000년 9.8년, 2005년 9.1년 등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또 지난해 청년 취업연령 25.2세와 지금의 은퇴연령 상승률이 유지된다고 가정할 때 2030년 자녀 독립 후 은퇴 준비기간은 5년으로 줄어들었다. 만약 청년 취업연령과 은퇴연령이 지금까지의 추세대로 계속 높아진다면 2030년 은퇴준비 기간은 3.4년까지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부모세대들이 노후 대비는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이 하나금융그룹과 한국 갤럽의 공동조사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30~40대의 60%가 은퇴 준비를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은 "이처럼 은퇴 준비가 미흡한 이유는 생활비 부담과 주택마련 자금 그리고 무엇보다 높은 사교육비와 대학 등록금 등 자녀 교육비 때문"이라면서 "부모들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는 교육 정책이 은퇴준비 문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