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치유의 숲, 더 넓어진다

산림청, 양평등 운영이어 내년 지자체 3곳 조성지원

이돈구(왼쪽)산림청장과 강만수 산업은행장이 최근 치유의 숲 조성사업 확대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제공=산림청

치유 목적으로 숲을 방문하는 국민들이 급증하면서 치유의 숲 조성사업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산림청은 현재 운영중인 국립 치유의 숲 3개소와 함께 4개 지자체 치유의 숲 조성사업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어 내년에 3개 지자체 치유의 숲 조성사업을 신규 지원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현재 일반인에게 개방해 운영중인 치유의 숲은 양평, 장성, 횡성 등 3개 치유의 숲. 경기 양평 산음휴양림 내 산음치유의 숲이 2009년부터 치유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으며 전남 장성 편백나무 치유의 숲이 지난 4월부터 본격 운영되고 있다. 강원 횡성 청태산 치유의 숲 또한 10월부터 치유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며 국민건강증진 명소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전국 4개 지자체들이 2012~2014년 완공을 목표로 치유의 숲 조성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전남 장흥 편백치유의 숲, 전남 화순 만연산 치유의 숲, 전북 순창 용궐산 치유의 숲, 충북 영동 민주지산 치유의 숲 등 4개 치유의 숲이 지자체가 국비지원을 받아 조성중인 치유기지다. 산림청은 내년도에 33억7,500만원의 예산을 확보해 4개 지자체 치유의 숲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신규로 추진하는 3개 치유의 숲 조성사업에도 예산을 보탤 계획이다. 내년에 신규로 치유의 숲을 조성하는 지자체는 전남 광양, 경남 합천, 제주 등 3곳. 산림청은 산림치유 수요와 입지를 고려해 권역별 치유의 숲을 조성해 국민들에게 제공할 방침이다. 경기ㆍ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대경권, 부경권, 호남권, 제주권 등 7개 권역별로 치유의 숲을 운영하겠다는 복안이다. 또한 접근성, 치유환경 등을 고려해 단기방문형, 장기체류형, 산림테라피단지 등으로 구분해 치유의 숲을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산림청은 강릉 저탄소 녹색도시내 국유 치유의 숲 조성사업을 연차별 조성계획에 따라 차질 없이 추진한다. 올해 기본조사설계를 완료하고 내년도에 실시설계와 토지매입을 거쳐 2013년까지 치유의 숲 조성사업을 마무리지을 방침이다. 산림청은 최근 협약을 맺은 산업은행과 함께 치유의 숲 조성사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산림청이 치유의 숲 조성공간을 제공하면 산업은행이 치유의 숲 조성사업에 나설 기업을 물색하고 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을 도입하겠다는 구상이다. 산림청은 산림치유 효과규명을 위한 연구개발사업을 한층 강화한다. 통합의학ㆍ임학ㆍ보건학 등 전문가를 중심으로 산림치유 연구사업단을 구성해 산림치유 효과규명 및 치유효과 계량화에 나설 예정이다. 이돈구 산림청장은 "전국 곳곳에 치유의 숲이 조성돼 국민 누구나가 편리하게 접근해 숲에서 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치유의 숲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