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북한 "6자회담 불참" 입장 재확인

양국 외교장관 의견모아…미사일 대응기조엔 견해차<br>北, 28일 다른 국가와 접촉 본격화 주목

북한 "6자회담 불참" 입장 재확인 28일 北제외 8자회동남북외교장관회담 성사 여부에도 촉가 쿠알라룸푸르=김병기 기자 bkkim@sed.co.kr 북한이 미국의 금융제재가 해제되기 전에 6자회담에 나갈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계기에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불러내려는 국제사회의 노력도 물거품이 되는 분위기다. 북한의 이 같은 입장이 확인되자 한국과 미국은 북한을 제외한 5자와 호주, 캐나다,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8자 외교장관 회동'을 28일 오후에 갖기로 합의했다. 회동에서는 북핵 6자회담의 연장선상에서 한반도 안보정세 전반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北, 태도불변 확인=ARF 참석차 27일 오후 쿠알라룸푸르에 도착한 북한 대표단의 대변인인 정성일 외무성 국제기구국 부국장은 이날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기자들에게 "6자회담이 되려면 미국이 금융제재를 풀면 된다"고 말했다. 정 부국장은 한국과 중국 등이 추진하고 있는 '8, 9자 회동'에 참석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도 구체적 언급없이 "그런 것 없다"고 밝혔다. 북한 정 부국장의 이 같은 발언은 ARF를 계기로 쿠알라룸푸르에 모인 관련국 대표단이 북한에 대한 '대화의 틀'을 유지하기 위해 펼쳐오고 있는 외교노력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다. ARF는 북한 미사일 사태의 외교적 해결을 위한 '마지막 무대'로 평가된다. 북한이 끝까지 태도변화를 보이지 않을 경우 미국ㆍ일본을 중심으로 한 대북 압박기조가 한층 강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악화를 막기 위해 우리정부를 비롯한 미국, 중국 등은 ARF계기에 '장관급 6자회담', 5자회동, 9자회동 등 북한을 불러내기 위한 각종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그러나 북한이 이에 관심이 없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북한 미사일 사태 및 북핵 6자회담의 앞날에 '먹구름'이 끼게 됐다. ◇8자회동에 관심집중=북한이 다자회담에 응하지 않겠다는 의사가 확인되면서 관심의 초점은 8자 회동에 쏠리고 있다. 한ㆍ미ㆍ일ㆍ중ㆍ러 외에 호주, 캐나다, 말레이시아가 참가하는 8자회동은 미국이 주도해서 제안됐으며 한국이 중국측에 제의해 합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와 캐나다는 북한 미사일 발사에 따라 안보위협을 느끼는 당사자고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대표국이자 ARF의장국 자격으로 참석하게 됐다. 5자가 아닌 8자회동을 여는 것은 북한이 느끼게 될 소외감을 '희석'시키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회동의제에 대해 정부고위당국자는 "8자가 만나면 '동북아 안보메카니즘'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9ㆍ19공동성명에 동북아 안보메카니즘이 언급돼 있으며 전제는 북한 핵문제 해결"이라고 말했다. 8자회동에서 어떤 톤으로 논의가 진행될 지, 그리고 북한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 지가 앞으로의 정세방향을 가늠할 '기준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입력시간 : 2006/07/27 17:5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