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시 100대 도시 전자정부평가 연속 1위

경북도 지자체 평가서 1위 차지<br>국가간 정보격차 갈수록 커져..남미,아프리카.서아시아 '하위권'

서울시 100대 도시 전자정부평가 연속 1위 경북도 지자체 평가서 1위 차지국가간 정보격차 갈수록 커져..남미,아프리카.서아시아 '하위권' (서울=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서울시가 세계 100대 국가 100대 도시 전자정부평가에서 2003년에 이어 2005년에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또 이번에 처음으로 실시된 서울시를 제외한 전국 33개 주요 지방자치단체 평가에서는 경북도가 1위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전자정부의 국가간 정보격차는 전세계적으로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성균관대 국정관리대학원 국제정보정책전자정부연구소(소장 김성태 교수)는 1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을 통해 UN과 미국행정학회(ASPA) 후원으로미 뉴저지 주립대학교 전자정부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격년주기의 세계 100대 국가 100대 도시 전자정부평가에서 서울시가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평가는 성균관대와 뉴저지주립대가 전자정부 수준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공동으로 개발한 지표인 보안.개인정보보호(18개 항목), 사용편이성(20개 항목), 내용구성(20개 항목), 행정서비스(20개 항목), 시민참여성(20개 항목) 등 98개 항목에의해 이뤄졌으며 100점이 만점이다. ◇서울시 종합점수 81.70.. 5개 분야중 4개 최고점수 서울시는 전체 5개 분야중 보안.개인정보보호, 내용구성, 행정서비스, 시민참여성 등 4개 분야에서 가장 높은 점수인 종합점수 81.70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5개 분야중 사용편이성에서 1위를 한 뉴욕이 종합점수 72.71점으로 2위를했고 상하이(63.93점), 홍콩(61.51점), 시드니(60.82점), 싱가포르(60.22점), 도쿄(50.94점), 취리히(55.99점),토론토(55.10점), 라트비아의 리가(53.95점) 등 순이었다. 김성태 소장은 "서울시의 경우 모바일 서비스의 제공, 실시간 토론을 위한 창구개설, 보안을 위한 소프트웨어 자동권장 및 인증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서울시 웹사이트에 적용하고 사이버정책포럼을 통해 정책이슈에 대한 시민토론 및 대화의 장을 열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2003년 평가에서는 10위권에 들지 못했던 시드니(19위)와 취리히(35위), 리가(62위) 등 3개 도시가 이번 평가에서 급상승했고 이들 도시는 보안과 개인정보보호, 사용편이성, 내용구성 변화에서 큰 진전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간 정보격차 심화 전자정부의 국가간 정보격차는 점점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00개국중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전체 종합점수는 44.35점을 기록,비 OECD 회원국의 26.50점에 비해 배에 가까운 수준이었고 전체 종합평균 33.11점과도 큰 격차를 드러냈다. 특히 상위 20위권 도시는 평균 54.90점으로 하위 20위권 도시의 평균 14.38점에비해 40.56점이나 차이를 드러냈고 이 격차도 2003년의 37점에 비해 더 벌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하위 20위권내 도시들은 대부분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서아시아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소장은 "이러한 정보격차의 문제를 개혁하기 위해서는 UN과 다른 국제기구들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라면서 "우수도시의 모범사례들은 앞으로 전자정부의 수준이 낮은 도시나 국가의 발전모델로 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 지자체 평가 1위..상하이보다 점수 높아 경북도가 2005년에 처음으로 6개 광역시와 9개 도 및 각 도내 인구 순위 상위 2개 도시 18개를 포함 총 33개 도시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자정부 평가에서 광역도 단위에서 종합점수 71.26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강원도와 경남도가 68.65점과 63.73점으로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광역시와 시 단위에서는 인천시와 구미시가 각각 69.02점과 68.90점으로 각각 1위를 기록했다. 광역시에서는 울산과 부산이 65.03점과 64.55점으로 2위와 3위를 각각 차지했고시 단위에서 제주시와 김해시가 각각 66.65점과 65.93점을 받아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김 소장은 "우리나라 지자체의 평가결과를 세계 대도시 상위 20위권과 비교하면33개 지자체의 전자정부 수준은 상위권에 든다"며 "33개 도시중 29개가 세계 10위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특히 "국내 지자체 평가 1위를 차지한 경북도의 경우 세계 대도시 평가에서 3위를 기록한 상하이보다 평가점수가 높았다"고 덧붙였다. 입력시간 : 2006/04/11 13:3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