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눈/9월 5일] 정정 불안에 희생된 태국경제

태국 정정불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국민민주주의연대(PAD)가 이끄는 반정부 시위대가 총리공관 등 정부청사를 점거한 지 열흘이 넘었고 시위 진압에 나선 군부는 사막 순다라벳 총리의 강제 해산 명령이행을 거부하고 있다. 친정부-반정부 시위대 간 충돌로 사상자가 발생하자 사막 총리는 지난 2일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사막 총리는 4일 사퇴 불가 입장을 재확인하며 배수진을 쳤지만 사태가 해결될 가능성은 요원하다. 사태가 극한으로 치달으면서 급기야 군부의 개입설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이렇게 되면 2006년 쿠데타로 탁신 정권이 붕괴된 지 만 2년 만에 다시 군부가 정치 전면에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반정부 시위대는 사막 총리가 탁신 전 총리의 꼭두각시라며 부정부패ㆍ선거부정 등의 이유를 내걸어 진정한 민주정부 수립을 외치고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왕정 지지자들이 왕에 불손한 현 정권을 몰아내려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외신뉴스로 태국의 복잡한 정치상황과 태국인들의 정서를 모두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시위대에 의한 공항폐쇄 등으로 태국의 국제적인 위신이 추락했다는 것과 정치불안으로 경제가 치명상을 입었다는 점이다. 태국 밧화 가치는 13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고 증시도 시위가 시작된 5월 25일 이후 26% 가까이 폭락하며 19개월 전으로 후퇴했다. 태국의 주력 산업인 여행산업도 직격탄을 맞았다. 국내 여행업계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 정부가 태국에 대한 여행 자제를 권고하면서 예약 취소가 속출하고 있다. 가뜩이나 고유가로 해외 여행객이 급감해 위기를 맞고 있는 국내 여행업계에 악재가 하나 더 추가된 것이다.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시련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태국의 현 사태에서 민주주의는 명분일 뿐이며 본질은 정권을 장악하기 위한 정치집단 간의 다툼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AP통신은 PAD가 국민이 선택한 사막 정부를 부정함으로써 국민의 선거권을 약화시키기 위해 ‘선별적 민주주의’를 하려한다고 꼬집었다.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는다면 군부가 개입하는 파국을 맞을 수도 있다. 추락하는 경제와 이로 인해 위협받는 태국인의 삶도 걱정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사태가 해결돼야 한다. 태국 정치 세력의 지혜를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