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환율 950원밑으로 가면 생산 중단하는 것이 낫다"

中企 CEO들 기업銀 행사서 성토 잇달아

원화 환율이 1달러당 980원 아래로 급락한 가운데 9일 기업은행 주최 중소기업설명회에서 중소기업인들은 “환율이 950원 이하로 내려가면 생산을 멈추는 것이 낫다”며 최근의 환율 하락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올해 환율을 1,000~1,020원으로 전망하고 경영계획을 세웠으며 현재의 환율 수준은 이미 손익분기점을 하회했다고 토로했다. 미국 등 23개국에 스피커를 수출하는 성주음향의 최윤길 대표는 "환율이 980원선까지 내려오면 일부 상품은 손해를 보고 팔게 된다"며 "약간 손해가 나더라도 지속적인 관계 구축을 위해 상품을 계속 생산하는 게 관행이지만 환율이 950원선까지 하락하면 생산을 중단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정부 및 금융기관들은 중소기업이 환위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컨설팅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유제품을 수출하는 조은식품공업의 신현무 대표는 "올해 환율을 1,050원으로 잡고 경영계획을 세웠다"며 "1,000원선 정도는 견딜 만하지만 그 이하는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정승화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회장은 "현재 주요 의약품 수출기업의 손익분기점은 1,000원선 정도"라며 "환율 경쟁력이 많이 좋아졌지만 환율 하락에 가격 인상으로 대응할 만큼 경쟁력 있는 회사는 그리 많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원재료를 수입, 판매하는 신일유리 김석문 대표는 "원재료 값이 제품 단가의 40% 이상을 차지한다"며 "올해 환율을 1,000원가량으로 예상했는데 연초부터 환율이 급락해 이익률이 상당히 좋아졌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