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불경기에 물가상승에…먹고 살기도 힘들어 졌다

1분기 식비 역대 최고…실제는 최저수준

올 1분기에 우리나라 가구의 먹는 데 쓴 지출액이 가장 높았지만 물가 상승 영향으로 실제 소비량은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명목가격 기준 2인 이상 전국 가구의 1분기 소비지출 가운데 식료품ㆍ비주류음료와 식사비 등 먹는 데 쓴 비용이 59만585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래 역대 1분기 수치 중 가장 높았다. 항목별로는 쌀, 육류, 채소, 과일, 과자, 커피, 주스 등이 포함된 식료품ㆍ비주류 음료가 32만2,930원으로 1분기 사상 처음으로 30만원대를 돌파했다. 일반식당, 배달 음식, 커피숍, 패스트푸드 등 바깥 음식을 사먹는 데 든 비용인 식사비는 26만7,655원으로 지난해 1분기(27만440원) 다음으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가격 변동 요인을 제거한 실질 소비지출을 보면 상황은 달라진다. 실질가격 기준으로 식료품ㆍ비주류음료와 식사비 등 1분기 식생활비용은 47만3,136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9년 1분기 다음으로 가장 낮았다. 이중 식료품ㆍ비주류음료가 24만6,495원으로 역대 1분기 가운데 최저였고, 식사비는 22만6,641원으로 역대 3번째로 낮았다. 이는 물가 상승으로 식생활에 든 비용은 늘었으나 실제 사서 먹은 양은 줄었다는 뜻이다. 가령 식료품ㆍ비주류음료 중 육류를 사는 데 든 비용이 이번 1분기에 명목 기준으로 작년 동기 대비 0.6% 감소했는데, 실질 기준으로는 7.0%나 하락했다. 즉 육류 구매에 쓴 돈은 지난해 1분기와 엇비슷했지만 실제 소비량은 준 셈이다. 이상기후로 가격이 급등한 채소류를 보면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1분기 채소 및 채소가공품에 지출한 비용은 명목 기준으로 17.4%나 급등했으나 실질 기준으로는 오히려 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1분기에 식료품 가격이 많이 올라 명목상 지출비용이 늘고 실제 구입한 양은 줄었다"며 "예를 들어 돼지고기 가격이 50% 급등해 3번 살 것으로 2번으로 줄였다면 명목상 돼지고기 구입비용은 같지만 양으로 따지면 3분의 1이 준 셈"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