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도발에 자제력 잃으면 재앙 닥칠수도"

"대북 보복 즉각적이고 제한적이어야… 최악의 경우엔 전면전 가능성"

한국이 북한의 도발에 자제력을 잃으면 한반도에 재앙이 닥칠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러시아 출신의 북한 전문가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16일 미국의 국제문제전문지 포린폴리시(FP) 인터넷판에 기고한 글에서 최근 한국 사회의 대북 강경분위기를 우려하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그동안 북한의 도발에 훌륭한 자제력을 발휘했기 때문에 지금의 풍요롭고 자유로운 사회를 이룰 수 있었다"면서 "북한에 대한 보복은 즉각적이고 제한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후 형성된 대북 강경 여론을 우려했다. 그는 여론조사에서 한국인의 80%가 북한의 새로운 도발시 군사보복을 지지했으나 천안함 사건이 발생한 6개월 전만 해도 30%만 군사적 대응에 찬성했다면서 요즘 한국에는 이례적으로 '호전적인(bellicose)' 분위기가 지배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 같은 변화는 좋은 소식이 아니며 군사적 보복은 잘하면 단순한 피해에 그치겠지만 최악의 경우에는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란코프 교수는 한국은 그동안 북한의 갖가지 도발에도 전체 인구의 절반이 북한군의 장사정포 범위에 있는 현실 앞에서 자제력을 발휘해왔다면서 한국인들은 북한 추가도발 시 정부가 군사보복을 하기를 원하지만 그러면 북한의 재반격으로 위험한 상황이 초래되고, 설령 군사대응이 성공한다고 하더라고 평양 정권의 행태에 아무런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전면전 확전의 가능성을 크게 우려했다. 북한 정권은 병사 수백명의 희생에 아랑곳하지 않고, 오히려 '한국의 보복이 과도하다'고 생각하면 서울을 향해 포격을 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란코프 교수는 "21세기 한반도 전쟁은 한국민뿐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큰 재앙을 가져올 것"이라면서 제한된 군사충돌에도 세계 언론이 '한국에서 전쟁 발발'이라는 헤드라인을 뽑으면 투자자들을 놀라게 해 한국 경제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그것이 바로 북한이 얻고자 하는 바"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이 북한에 당하고만 있으라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보복을 하더라도 즉각적이고 제한적이며 주로 상징적인 성격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이 그동안 발휘한 현명한 자제력을 앞으로 몇 달 사이에 잃게 되면 큰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