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방공기업 채권 특수채로 인정

재무건전성 개선 기대

앞으로 지방공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이 특수채로 인정받게 된다.

특수채가 되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보증을 하기 때문에 회사채에 비해 높은 신용도를 인정받아 발행금리가 떨어져 비용이 절감되고 펀드 투자 한도도 30%로 늘어나 투자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자비용이 줄고 투자 수요가 늘어나면 지방공기업의 재무건전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2일 안전행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방공기업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다고 밝혔다.

특수채는 통상 국가나 지자체가 책임을 담보해 일반 회사채보다 신용도가 높다. 현재 최우량 회사채의 금리는 평균 4%대지만 특수채는 이보다 낮은 3% 초반 수준이다. 따라서 지방공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이 특수채로 인정받으면 금리 부담을 덜 수 있다.

또 펀드가 편입할 수 있는 채권 투자 한도가 회사채의 경우 10%지만 특수채는 30%까지 가능하다. 투자 수요가 그만큼 늘어날 소지가 큰 것이다.

또 개정안은 지방공기업 발행 채권에 부과되던 공시 의무와 유가증권 발행분담금 납부 의무를 면제시켜 채권 발행 시 절차상 부담을 덜 수 있게 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지방공기업의 재무건전성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공기업 부채를 정부가 보증하는 점에서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