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러, 내년 육류.식용유 등 식량난 직면

러시아가 경제난에 수 십년래 최악의 흉작까지 겹쳐 내년 초부터 육류, 식용유, 버터 등 기초 식량이 부족하게 되는 식량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민간 농업연구소가 17일 경고했다. 아울러 최대 외화수입원인 석유산업에서 국제유가하락으로 인해 올 들어서만벌써 작년 대비 1백억달러의 손실을 기록, 취약한 재정난을 더 심화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강력한 대선후보자로 부상하고 있는 알렉산드르 레베드 크라스노야르스크州 지사는 러시아가 90일간의 채무상환 유예선언이 끝나는 내달 18일 외채를 갚지못해 국가파산의 위기에 직면할 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정부는 기초식량이 부족하게되는 현상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으나 이미식량 수입 규모의 대폭 축소와 흉작으로 인해 식량난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러시아는 이에 따라 미국에 인도적 지원차원에서 대규모 식량원조를 요청하는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농산물시장경향연구소는 내년 초부터 육류, 식용유, 버터 등 기초식량이 부족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모든 러시아 가정에 심각한 타격을 가할 것이라고경고했다. 농업장관을 지낸 빅토르 클리스툰 소장은 정부가 기초식량에 대한 수입관세를 인하했음에도 불구, 식량수입 규모의 축소로 식량난을 피할 수있을 지는 불투명한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알렉산드르 로타레프 하원(국가두마) 천연자원위 위원은 석유산업에서 작년대비1백억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히고 복잡한 세법과 부패가 재정위기를 더 심화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레베드 지사는 "매우 큰 문제가 정부의 채무상환 유예선언기한이 끝나는 내달 18일 시작되려고 한다"며 "최악의 시나리오를 애기한다면 국가파산이 될 것"이라고말했다. 러시아는 이번주 런던에서 이틀간 서방금융기관들과 채무구조조정 협상을 벌였으나 아무런 합의도 얻어내지 못했다. 러시아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추가 지원만이도움이 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위기탈출 프로그램마저 내놓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