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연기금 벤처투자 방안 '고위험ㆍ고수익' 논란

정부가 내놓은 대책 중 눈에 띄는 게 연기금 활용책이다. 투자방식이 ‘한국형 뉴딜’과 비슷하다. 투자 여부는 연기금의 판단에 따르되 정부(기술신용보증기금)가 보증서는 형태다. 연기금은 투자대상 벤처기업이 발행하는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인수한다. 투자는 대상기업과의 협약으로 이뤄진다. 원리금만을 보장받을지, 원금의 70~90% 정도만 보장(기보 보증)받고 CB 등의 워런트를 받아 차후 기업이 코스닥에 상장, 주식으로 전환할 때 차익을 더 많이 향유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고위험ㆍ고수익’ 옵션이 딸린 셈이다. 투자대상 기업이 망하면 연기금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재정(기보 출연금)에 펑크가 날 우려를 안고 있다. 김석동 재경부 금융정책국장은 “보증이 없어 연기금의 벤처투자가 계속 줄어왔다”며 “연기금에도 보다 많은 포트폴리오를 제공해주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위험성이 높은 벤처에 연기금을 투하하는 데 대해 적지않은 논란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