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ㆍ9 총선 격전지를 가다] 경기 광명을

MB-정동영 '대리전' 관심<br>17대 이어 전재희 의원과<br>정동영 특보 양기대 재대결<br>현 판세는 전의원 '우세'

한나라 전재희 의원

민주 양기대 후보

경기 광명을에서는 17대 총선에서 맞붙었던 전재희 한나라당 의원과 양기대 전 정동영 후보 특보가 여야 위치를 바꿔 리턴 매치에 나선다. 지난 총선에서 전 의원은 탄핵 역풍 속에도 양 전 특보를 3,000여표 차로 꺾었다. 이명박 대통령측으로 분류되는 전 의원은 대선 승리를 바탕으로 일할 수 있는 힘 있는 여당 중진임을 내세우고 있고, 정 후보의 최측근인 양 전 특보는 새 정부 실정론을 바탕으로 한 견제론으로 설욕을 벼르고 있어 ‘대선 후 대리전’로도 관심을 모은다. 전 의원은 중앙정치와 지역 관리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편. 당 정책위의장을 지낸 최고위원으로 당내에서도 정책통 여성 리더로 꼽힌다. 전 의원은 새 정부의 첫 복지부 장관으로 내정 단계까지 갔으나 당 지도부가 SOS를 보내 지역구 출마로 방향을 바꾸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13일 “당시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가 광명을에 출마한다는 얘기가 있어 전 의원을 내각으로 차출하면 한나라당의 수도권 압승 전략에 차질이 올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당에서 협조를 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여기에 관선ㆍ민선 광명시장과 이 지역 국회의원 재선 등 10년 이상 이 지역을 무대로 활동한 점도 강점이다. 전 의원측은 “당의 지도급 의원으로서 지역 현안을 힘있게 추진할 수 있을 뿐더러 지역민들과 호흡할 수 있는 장점을 두루 갖췄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 의원의 중량감은 양 전 특보측도 어느 정도 인정한다. 하지만 중앙정치의 거물급을 필요로 하는 시대는 지났다는 점을 집중 어필하면 수도권에서 불고 있는 새 정부 견제론이 먹혀 들 가능성이 높다는 게 양 전 특보측의 시각이다. 양 전 특보는 “디지털단지 조성 등 정체된 지역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 인물이 나와야 한다”며 “당 지지율만 조금 상승하면 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여당 일꾼론’에 대해서는 영남 지역의 한나라당 일부 의원의 사례를 들면서 “야당 의원도 하기에 따라 특별교부금 등 지역 이익을 엄청나게 챙길 수 있다. 하지만 전 의원은 거물 정치인임에도 지역 현안을 해결한 게 없다”고 정면 반박했다. 결국 전 의원의 대체적 우세 속에 손학규 대표와 정동영 전 장관 등이 주도하는 ‘서울 돌풍’이 어느 정도 몰아치느냐에 따라 서울에 인접한 이 지역의 판세도 결정될 것이란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광명을 지역은 8개 동으로 구성돼 있고 광명 역세권 개발, 연계교통망 확충, 자족도시로 전환 등 개발 현안이 산적해 있다. 주로 소형 아파트가 들어선 곳이 많으며 지역적으로는 호남과 충청 출신이 각각 30%를 넘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