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탄소 배출권' 시장 선점경쟁 치열

작년 교토의정서 발효따른 신종 에너지 파생상품<br>거래 본격화 땐 2007년 시장규모 100兆달할듯<br>유럽·美·日펀드조성 주력…한전 등도 사업채비

정부가 국내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으로 승인해준 강원풍력발전소 전경. 이들 사업은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실적에 대한 검증 후 유엔(UN)에 등록되면 교토의정서에 따른 온실가스 의무감축 국가나 기업이 이를 활용하기로 할 경우 배출권으로 인정돼 전력생산뿐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전혀 새로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석유 등 유형의 자원확보 못지 않은 에너지 전쟁이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 파생상품으로 불리는 탄소 배출권 시장을 놓고 벌이는 싸움이다. 영국을 주축으로 EU(유럽연합)가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일본과 미국이 그 뒤를 쫓고 있다. 우리나라도 출전 채비를 갖추며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탄소 배출권은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의거 탄생한 신종 에너지 파생상품. 온실가스 의무 감축 대상국이 이를 이행하지 못했을 때 다른 나라(기업)의 배출권을 취득하면 이행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온실가수 의무감축 대상국은 현재 38개국(EU는 1개국으로 간주). 특히 유럽은 탄소 배출권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데 톤당 26유로에서 거래되고 있는 상태다. 탄소 배출권을 필두로 앞으로 무형의 자원을 유가증권(파생상품)으로 바꾸는 신종 에너지 상품의 잇단 출현이 예고되고 있다. ◇무형의 탄소가 유가증권으로 탈바꿈 =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일본, 러시아, EU, 뉴질랜드, 캐나다 등 38개국이 온실가스 의무 감축 대상국이다. 이들 국가는 온실가스를 정해진 기간 내에 일정 비율 만큼을 반드시 줄여야 된다. 탄소 배출권 거래는 이런 과정에서 탄생했다. 온실가스 감축을 이행하지 못해도 다른 국가의 배출권을 매입하면 그만큼 감축 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간주한 것. 탄소 배출권이 파생상품화 된 셈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권 거래가 본격화 될 경우 거래시장 규모는 지난해 10억 달러(10조원)에서 2007년에 1,000억 달러(100조원)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펀드 조성 등 배출권 선점하자 = 탄소 배출권 거래의 핵심에는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이 자리잡고 있다. CDM은 의무 감축 대상국이 비 의무 감축대상국 등과 기술개발 등을 통해 감축실적을 올리며 감축분에 상응하는 배출권을 팔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CDM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올린 뒤 유엔의 승인을 받으면 비로서 돈으로 거래될 수 있는 탄소 배출권을 인정 받게 된다. 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에는 적잖은 비용과 위험부담이 따른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탄소펀드다. 의무 감축 대상국들은 앞다퉈 펀드를 조성, 개발 도상국가에 투자하고 있다. 현재 결성된 주요 탄소펀드만 해도 PCP 펀드 등 14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일본, 유럽, 미국 등 선진국들은 펀드 조성에 주력하고 있는 데 이들은 조만간 엄청난 돈이 될 탄소 배출권 확보에 미리 나서고 있는 것이다 동시에 개발도상국들도 CDM 사업 유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업 유치를 하면 그 대가로 배출권도 얻을 수 있는 데다 환경도 보호할 수 있는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등 유럽 선두, 미ㆍ일도 추격전 = 탄소 배출권이 거래되기 위해서는 거래소가 필요하다. 현재 거래소는 총 10곳으로 이 중 8곳이 유럽에 집중돼 있다. 특히 영국의 기후거래소(PLC)는 탄소 거래소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는 상태다. 흥미로운 것은 교토 의정서를 거부한 미국도 탄소 거래소를 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카고의 기후거래소(CCX)가 그것. 국가 차원에서는 교토 의정서를 거부했지만 앞으로 돈이 될 탄소 배출권 시장을 뺏기지 않기 위해 필요한 예습을 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을 비롯, 중국과 인도, 우리나라 등은 현재 의무 감축대상국이 아니다. 특히 중국과 인도와 미국은 온실가스 배출량 10위권 국가. 중장기적으로 이들 국가 역시 교토의정서에 편입될 수 밖에 없다. 이럴 경우 탄소 배출권 시장 규모는 어마 어마 하게 커진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전력 등 몇몇 기업이 탄소 배출권 거래 사업에 뛰어 들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