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농심, 라면판매량 정체∙가격인하 부담

농심이 라면 판매량 정체와 가격 인하 부담으로 앞으로 실적 개선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소용 KB투자증권 연구원은 24일 “농심은 라면 판매량이 줄어들고 지난 2월 단행한 가격인하의 부담으로 하반기 실적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농심 매출액의 73.4%를 차지하는 라면 판매량은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고, 지난 2월 3일 라면가격을 평균 5% 인하함으로써 2∙4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들 것”이라며 “원재료비의 20%를 차지하는 밀가루가격은 7% 내렸으나 40%를 차지하는 스프가격이 인상될 조짐을 보여 악재”라고 설명했다. 중국법인이 이 달 라면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은 호재다. 이 연구원은 “그 동안 주력제품이었던 신라면은 고가인데다가 중국인 입맛에는 맞지 않아 매출액 확대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신제품은 맛도 현지인의 입맛에 맞추고 가격도 내릴 예정이라 지난 해보다 중국법인의 매출액이 34%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향후 프리미엄 라면의 성공으로 평균 판매가격을 인상하지 못하면 의미 있는 실적개선이 힘들 것”이라며 투자의견 중립에 목표주가는 25만원을 유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