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북핵 6자회담] '핵 불능화'땐 에너지 추가지원

한미, 북에 제안…'핵시설 폐쇄'보다 한단계 수위 높아

[북핵 6자회담] '핵 불능화'땐 에너지 추가지원 한미, 북에 제안…'핵시설 폐쇄'보다 한단계 수위 높아정부 당국자 "북핵 6자회담 13일도 계속될 것" 베이징=안길수 기자 coolass@sed.co.kr 북핵 6자 회담 다섯째 날인 12일 한국과 미국 등은 북한이 초기 이행조치로 '핵시설 폐쇄'보다 높은 단계인 '핵시설 불능화(disabling)' 조치를 취하면 중유 등 에너지 지원을 늘리겠다는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가국들은 이날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양자 및 다자간 회동을 잇따라 갖고 북한의 핵 폐기 초기 이행 조치와 그에 따른 상응조치를 놓고 협상을 벌였다. 한국과 미국ㆍ중국 등은 북한이 핵 불능화 조치를 받아들일 경우 중유 50만톤 외에 전력 등 다른 에너지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에 제공될 에너지는 북한이 취할 초기이행 조치의 수준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의 한 당국자는 이날 "북측이 취해야 할 비핵화 조치는 과거와 같은 단순 동결에 그쳐서는 안된다는 게 우리의 입장"이라며 "북측도 앞으로 논의될 북미 관계 개선 논의도 단순대화 수준은 넘어서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비핵화 조치의 대가로 북한에 제공될 에너지는 기본적으로 중유를 중심으로 각국이 처한 사정에 따라 전력 등 다른 형태를 취할 것으로 알려졌다. 핵시설 불능화 조치는 ▦북한이 플루토늄 생산과 관련된 핵 관련 시설의 가동을 중단하고 ▦관련 시설의 주요 목록을 자진 제공한 뒤 ▦핵 물질 안전관리 논의 및 연료봉의 감시를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는 핵시설에 대한 북한측 인사의 접근을 금지하는 폐쇄보다 한 단계 높은 단계를 의미한다. 의장국인 중국은 이날도 북한ㆍ미국ㆍ일본 등과 양자회동을 했으며 각 참가국들의 수석대표들도 연쇄 비공식 접촉을 가지는 등 최종 합의 도출을 위한 협상이 하루 종일 이어졌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본부장은 "북한이 오늘 뭘 가져오느냐에 달려 있다"며 "우리가 갈 수 있는 거리를 북한이 알고 있고 자신들이 어떻게 하면 상응조치가 무엇이 나올지도 북한은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수석대표들이 협상타결 등 성과물을 내자는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며 "회담이 어떤 방향으로든 결론이 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중 합의문을 도출하지 못할 경우 북한과 러시아 대표단 일부가 13일 베이징을 떠날 것으로 전해져 회담장 주변에서는 이번 회담이 성과 없이 종료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제기됐다. 이와 관련, 우리 정부 당국자는 "논의가 더욱 진지한 분위기 속에서 심도 있게 진행됨에 따라 회의는 내일(13일)도 계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7/02/12 16:5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