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명품 구매자 30% “할부금 갚느라 고생”

대한상의 조사…85%는 “그래도 계속 구입할 것”

루이비통, 구찌, 샤넬 등 값비싼 해외명품을 구입한 소비자 3명 중 1명은 할부금을 갚느라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수입 명품을 구입한 20세 이상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9,8%가 ‘명품을 카드할부로 구매 후 할부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29일 밝혔다.

또 10명 중 4명은 ‘돈이 모자라 짝퉁상품 구입을 고려해봤다’(37.5%)고 답했고, ‘돈이 없어 중고품 구입을 생각해봤다’(24.3%)는 답변도 적지 않았다.


최근 2년간 해외명품을 구매한 횟수에 대해 '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52.5%)는 응답이 절반을 넘은 가운데 '줄었다'(24%)와 '늘었다'(23.5%)는 답변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특히 향후 명품 구입 계획에 대해 응답자의 84.8%가 ‘계속 구입할 것’이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대한상의 관계자는 "경기침체에도 명품소비가 위축되지 않는 것은 명품구입이 이미 일상화된데다 명품을 보다 수월하게 살 수 있는 쇼핑 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명품 구매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으로 36.5%가 디자인을 꼽았고 이어 브랜드 명성(26.3%), 품질(14.5%), 가격(13.8%), 희소성(8.8%) 등을 들었다. 구매 장소는 백화점(40%), 공항면세점(20.5%), 시내면세점(11.5%), 온라인면세점(5.5%) 등의 순이었다.

다만 해외명품 가격에 대해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품질에 비해 높은 편’(84.8%)이라고 답했고, 그 이유로는 ‘브랜드의 고가전략’(46%)과 ‘브랜드 명성’(35.1%)을 꼽았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지난해 고가 사치품 시장규모는 5조원을 넘는 등 국내 명품시장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는 자신의 소득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유행을 따라 무리하게 상품을 구입하는 '밴드왜건' 효과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상의는 분석했다. 실제로 명품 구매자의 75.3%는 ‘요즘 명품을 구입하는 것이 예전만큼 특별한 일이 아니다’고 답했고, 40.3%는 ‘남들이 갖고 있어서 명품을 구입했다’고 답변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