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앙亞에 의료 한류 바람 분다

세종병원, 국내 병원 브랜드 첫 수출계약, 중외제약은 카자흐에 수액공장 설립 국내 제약업체와 병원들이 중앙아시아 대표국가인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에서 의료한류의 바람을 일으킬 전망이다. 26일 보건복지부는 우즈베키스탄과 E-헬스, 만성 비감염성 및 감염성질환의 진단·치료 등을 공동 추진하고 카자흐스탄과는 의약품·의료기기의 국가등록 및 의약품 공동생산을 위한 협력사업과 바이오 의학·암 양성자치료 등 첨단분야 공동 연구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JW중외제약은 카자흐스탄의 제약사 JSC 킴팜(CHEMPHARM)와 3,400만달러 규모의 수액공장플랜트 건설 MOU를 체결하고 중앙아시아 의약품 시장에 교두보를 마련했다. 국내 제약사가 정부 지원 하에 해외에 수액 플랜트 수출 계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JW중외제약은 10월 JSC 킴팜과 본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수액 생산 설비 제작에 착수해 2012년 본격가동을 추진할 방침이다. JW중외제약은 플랜트 수출과 수액 원료 판매 등을 통해 향후 5년 간 3400만달러의 매출을 달성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등 개도국 정부, 제약사를 대상으로 마케팅을 집중해 2015년까지 플랜트 분야 매출을 1억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병원은 카자흐스탄 알란&시스템즈(Arlan & Systems)사와 알마티시에 카자흐스탄 최초의 심장전문센터를 설립하는 MOU를 체결했다. 알란&시스템즈사는 ‘세종’브랜드를 사용하고 세종병원은 매년 브랜드 사용료를 받기로 했다. 한국의료기관의 브랜드가 외국에 수출돼 브랜드 로열티를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대병원은 카자흐스탄 국립의학연구센터와 간이식환자 송출을 위한 MOU,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과 카자흐스탄 대통령국 의료센터는 의료인 연수사업 위탁 MOU, 고려대 의료원과 카자흐스탄 알파라비 국립대는 메디컬센터 설립지원을 위한 MOU 등 총 9건의 양해각서가 체결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