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버냉키, 美 금리인상 '속도 조절' 시사

"한 두 차례 조치 취하지 않을 수도"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2004년 6월 이후 지속돼온 미국의 금리인상 행진을 잠시 멈출 수도 있음을 27일 시사했다. 버냉키 의장은 이날 미 의회 상하원 합동경제위원회에 출석, 고유가 등으로 인한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하다고 경계하면서도 FRB 금리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2년 가까이 지속돼 온 금리인상 행진을 잠시 중단할 수도있음을 내비쳤다. 버냉키 의장은 "경제의 견실한 성장세 지속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에대한 경계가 필수적"이라고 전제한뒤 "미래 특정 시점에서 위원회가 (경기)전망에대한 적절한 정보 수집 시간을 벌기 위해 한 두 차례 회의에선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버냉키 의장은 이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기로 한 특정 회의의 결정이 이후 회의들에서의 조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FRB가 오는 5월 10일 회의에서는 일단 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상한 뒤 한 차례 정도 금리 인상을 멈추고, 그 때 경제상황에 따라 후속 금리 인상이 필요한지 여부를 살필 뜻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전했다. 버냉키 의장은 이와 관련, FRB는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망설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1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이 4-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성장률은 다소 완만해지겠지만 여전히 호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러나 "에너지 가격 상승이 경제활동과 인플레이션 모두에 위험 요인이 되고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의 부동산 시장이 급격한 침체보다는 "점진적 냉각"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며 FRB가 향후 부동산 시장의 추이를 주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