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영철(왼쪽 여섯번째) 자산관리공사 사장 등 캠코 관계자들이 지난 5월 국유재산 관리 노하우 등을 전수받기 위해 방문한 우즈베키스탄 고위공무원들과 회의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
글로벌 금융위기를 수습하기 위해 주요국 정상들이 머리를 맞댄 2010년 4월 영국 런던 G20 정상회의에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이명박 대통령이 금융위기로 각국에서 급증한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모범사례로 캠코의 경험들을 소개한 것이 해외 정상들은 물론 수행한 재무장관 등 경제관료들의 눈에 띄었기 때문이다.
캠코가 G20 무대에서 화려하게 조명을 받은 것은 1997년 외환위기의 아픈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 국민과 함께 힘을 모았던 사례들이 속속 결실을 맺어 성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캠코는 외환위기 이후 111조5,000억원에 이르는 천문학적인 규모의 부실채권을 인수해 국내 금융기관의 구조조정을 뒷받침했다. 캠코는 부실채권 인수에 투입된 39조 2,000억원이 국민의 세금으로 조성된 공적자금이라는 측면에서 자금 회수를 위해 부실기업 회생과 채권매각, 기업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맞춤형 기법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캠코는 투입된 공적자금 보다 훨씬 많은 45조 6,000억원을 회수할 수 있었다. 재정위기 확산 등으로 부실채권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유럽 등 관련국 정상 및 재무장관이 캠코의 성공신화에 눈이 번쩍 뜨인 것은 당연했던 셈이다.
캠코의 부실채권 정리에 관한 첨단 노하우가 해외에서 관심을 받게 된 것은 런던 G20 정상회담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1년 중국의 한 자산관리공기업이 캠코에 부실채권정리기법 및 금융구조조정 사례를 전수해달라고 요청한 이후 13개국 400여명의 해외 임직원들이 한국을 찾아 캠코에서 연수를 받았다. 이들을 통해 캠코가 보유한 무형자산이 국제금융시장에 빠르게 퍼져나가면서 국내 기업 및 금융회사들도 적잖은 세례를 입었다. 캠코는 이후 베트남과 몽골에서 현지에 부실채권정리회사 및 기구를 설립하는 데 컨설팅을 하며 직접 간여하기도 했다.
부실채권정리뿐 아니라 국유재산 관리에서도 선진국을 넘어서는 자산을 축적하고 있는 캠코는 중앙아시아의 대국 중 하나인 우즈베키스탄에 국유재산을 개발해 가치를 높이는 비결을 전수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과 아제르바이잔이 캠코의 국유재산 관리 노하우를 전수받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10년 이상 축적한 부실채권정리와 구조조정 방법, 국유재산 개발 기법을 외국에 큰 대가 없이 전수할 때는 망설여지기도 한다" 며 "하지만 한국의 노하우가 해외에 수출돼 현지인 뿐 아니라 국내 기업 등이 적극 활용하는 모습을 볼 때는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