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내기업 절반 "산업융합 시급"

산업硏 정책 세미나

국내 기업의 절반은 산업융합이 시급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석인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실장은 26일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산업융합 비전과 전략' 정책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기업 308곳과 전문가 53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기업의 48.0%, 전문가의 86.8%가 산업융합이 시급하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과 전문가의 각각 78.7%, 83.0%는 한국산업의 현재 위상과 특성을 고려할 때 산업융합이 앞으로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응답 기업의 33.7%는 융합제품 개발이나 출시과정에서 불편을 겪었다고 답했고 19.6%는 인증과 같은 제도적 기반이 미흡하다는 점을 산업융화 활성화의 제약요인으로 꼽았다. 장 실장은 "중소기업은 융합을 위한 전담조직이나 연구인력과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그간 산업전략의 초점이 원천기술 개발이나 산업화 단계에 집중돼 있어 융합 신제품 상용화나 신시장 창출 지원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지식경제부는 올 9월 국회 제출을 목표로 산업융합촉진법을 제정하기로 하고 법안 마련을 위한 구체적인 작업에 돌입했다. 안현호 지경부 제1차관은 "융합 시대에 걸맞은 법 제도와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며 "융합제품 출시 지원체계, 융합 연구개발(R&D) 시스템 정비, 융합 선도기업 육성 등 다양한 정책 과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