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회 등 10개 정부기관 해킹 피해

국정원 "국가안보위협 사건으로 대처"

국회 등 10개 정부기관 해킹 피해 국정원 "국가안보위협 사건으로 대처" 중국으로 부터 유입된 악성 프로그램(변종 Peep,Revacc)으로 국회와 한국국방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공군대학, 원자력연구소 등 10개 기관에서 해킹 피해가 났다. 또 개인별 e-메일 패스워드 관리 소홀로 전.현직 국회의원과 국회사무처 직원등 122명의 ID가 도용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가정보원은 13일 지난 6월 악성 프로그램 '변종 Peep'와 '변종Revacc'에 의한국가 주요기관의 해킹 피해를 처음 인지한 후 지속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프로그램으로 모두 278대의 컴퓨터가 해킹 피해가 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국가.공공기관의 경우 해양경찰청 77대, 국회 69대, 원자력연구소 50대, 한국국방연구원 9대, 국방과학연구소와 공군대학, 해양수산부, 중소기업청, 통일교육원, 천문연구원 각 1대 등 모두 211대의 PC가 해킹당했다. 민간 기업과 대학, 언론사 등의 PC 67대도 피해가 났으며, 일부 언론사 기자들의 e-메일 ID가 도용되는 등 민간 부분의 피해도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해킹 사건이 개인 차원이 아니라 일정 규모의 조직이 개입된 국가안보위협 사건으로 판단하고, 외교통상부와 정보통신부, 기무사령부, 경찰청 등 관련부처 합동으로 적극 대응키로 했다. 특히 해킹 공격의 발신지가 중국으로 최종 확인됨에 따라 외교통상부를 통해 주한 중국대사관측에 중국의 수사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경찰청은 해커 조직 색출을위해 인터폴, 중국 공안부 등과 공동 수사를 추진하고 있다. 국정원은 해킹 공격의 진원지 및 경유지로 이용된 IP 등 주의를 요청하는 IP목록(Watch List)을 국가사이버안전센터 홈 페이지(www.ncsc.go.kr)에 게재해 각급 기관 및 주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와 기업들에게 해당 경유지를 차단토록 하고, 피해 내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갱산키로 했다. 국정원은 "이번과 같은 해킹 공격은 피해자가 신고하지 않을 경우 거의 탐지가되지않는 고도의 공격기법을 사용해 차단이 어렵다"며 모든 인터넷 이용자는 최신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해 PC 보안관리를 강화하고 의심스런 e-메일은 열지 말고 삭제할 것을 당부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입력시간 : 2004-07-13 14:4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