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제 손본다

시행 2년 만에… 지정사유 공개 여부 등 관심

코스닥시장의 '블랙리스트'로 불리는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제도가 시행 2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31일 '투자주의환기종목 관리 체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용역 기간은 대략 2개월가량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정기지정 운용 방식 개선 및 규제 재정비가 주요 연구 내용이다. 특히 지정사유를 외부에 공개할지 여부나 복잡한 산출 방식을 단순하게 바꾸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8월 말까지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결과에 따라 제도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지난 2011년 5월 처음 도입된 투자주의환기종목은 수익성이 취약하거나 경영 투명성이 부족해 투자에 주의가 요구되는 코스닥기업에 대해 매년 5월 지정된다.


시행 2년 만에 소속부제에 대한 변화도 추진된다. 한국거래소는 연구용역 등 평가 과정을 거치면서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제도 개선에 착수, 올해 안에 완료할 계획이다. 소속부제는 상장회사 특성에 따라 우량기업과 벤처기업ㆍ중견기업ㆍ신성장기업 등 총 4개 소속부로 구분한다.

관련기사



이처럼 한국거래소가 소속부제 및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제도에 변화를 꾀하는 이유는 시행 2년간 개선해야 할 문제점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특별한 지정 기준이 없어 '이도 저도 아닌 기업'으로 지목되고 있는 중견기업 문제나 복잡한 선정 기준 등으로 상장기업은 물론 투자자 예측이 어렵다고 지적되는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부문 등 미비사항을 고쳐나간다는 게 한국거래소 측 계획이다.

한국거래소 측 고위관계자는 "시행한 지 2년이 지난 시점에서 지금까지 성과를 분석해 개선할 부분을 찾아내기 위해 '소속부제 평가 및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라며 "연구용역 등 평가 결과에서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에는 바로 제도 개선에 나서 내년 5월 정기변경 때부터 반영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한국거래소 측 관계자는 "현재 상장기업의 문의가 있을 경우에 한해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기준을 알려주고는 있다"며 "하지만 지정 기준이 45개가량으로 많아 상장회사는 물론 투자자들도 예측이 어렵다는 점에서 세부사항을 공개하거나 간소화하는 부분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