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FX 후보기종 3개사 모두 예산범위 초과

1차 가격입찰 8조3000억 훌쩍<br>"경쟁 통해 가격인하 유도 필요"

8조3,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차기전투기(F-X) 선정사업의 1차 가격입찰 결과 3개 후보기종의 가격이 모두 예산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21일 "지난 18일부터 사흘간 1차 가격입찰을 실시한 결과 3개 기종 모두 예산 범위를 넘어섰다"며 "2차 가격입찰은 오는 25일부터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방위사업청은 18일부터 F-X 사업에 뛰어든 EADS, 보잉, 미 공군성을 상대로 총 20회에 걸친 가격입찰을 실시했으며 28일까지 가격입찰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현재 록히드마틴의 'F-35A'를 내세운 미 공군성 외에 EADS는 '유로파이터'를, 보잉은 'F-15SE'를 각각 입찰 명단에 올려놓았다. 이 중 상업구매 방식인 유로파이터와 F-15SE는 확정가격이 제시됐으나 정부 간 계약인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이 적용되는 F-35A는 확정가 및 상한가가 제시되지 않아 최종 선정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F-35A는 록히드마틴이 미국 공군에 공급하는 가격에 따라 매년 국내 공급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미 공군성은 F-35A의 예상가격을 추산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 전투기 개발도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다.


한 고위소식통은 "현재 국방부는 미국과의 관계 등을 생각해 F-35A를 고려하고 있지만 미국 측은 대당 2,000억~2,500억원 정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안다"며 "F-X 60대를 구입할 예정이라 이 같은 가격을 수용할 경우 8조3,000억원을 크게 초과하기 때문에 F-35A가 선정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일각에서는 F-X 사업이 예산 범위 내에서 마무리되려면 오랜 시간 후보기종의 가격 인하를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미 공군성 측에 F-35A의 확정가를 제시하도록 해 적절한 가격경쟁을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