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노동생산성 높아져도 실질임금 감소... 한국 '임금없는 성장'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가 노동생산성은 높아졌지만 실질임금은 감소하는 ‘임금없는 성장’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7일 ‘임금없는 성장의 국제 비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실질 임금과 실질 노동생산성간 격차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파르게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명목 임금을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조정한 한국의 실질 임금(사회보장기여금 포함)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2.3% 줄었다. 1997년∼2002년과 2002년∼2007년에는 실질 임금이 각각 19.4%와 17.6% 증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료를 얻을 수 있는 28개 국가를 보면 2012년(또는 2011년) 실질 임금이 2007년과 비교해 한국보다 더 많이 하락한 나라는 11개 국가였다.

관련기사



그러나 재정위기를 겪은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국가와 1인당 GDP가 세계 40위권 밖인 나라 등 10개국을 제외하면 실질 임금 하락 폭이 한국보다 더 큰 국가는 18개국 중 영국, 일본, 이스라엘 등 3개국뿐이다.

반면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근로자 수로 나눈 한국의 실질 노동생산성은 2007∼2012년 9.8% 늘었다. 비교대상 국가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박 연구위원은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은 국가를 빼면 한국의 ‘임금 없는 성장’이 가장 심각하다”면서 “실질 임금이 노동생산성에 맞춰 늘어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