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모바일카드 발급 받으려는데 플라스틱카드부터 만들라니…

모바일시장 급성장 불구 규제는 2008년 그대로

가족·법인·외국인 발급 제한도 풀어야



모바일카드 시장의 흐름이 심상치 않다. 하나SK·BC카드로 시작됐던 모바일카드 시장 열풍이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삼성·현대·롯데카드 등 여타 카드사에까지 불어 카드사의 공동 앱카드 개발 및 출시까지 이어졌다.

하나SK·BC·신한카드의 유심형 모바일카드 발급 수는 지난해 말 기준 224만장으로 1년 새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용실적은 3,707억원으로 같은 기간 5.4배나 수직 상승했다.


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NH농협카드 등이 지난해 9월 공동으로 개발한 앱형 모바일카드 발급 수는 309만장에 이르고 이용실적은 4,021억원이다. 불과 4개월 사이에 유심형 모바일카드의 발급 수와 이용실적 모두 추월했다.

현재 앱형 모바일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서울 중심지 내지 일부 대형 가맹점에 집중돼 있는 점을 미뤄볼 때 향후 결제 인프라만 확보되면 폭발적 성장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내 모바일카드 시장은 팽창기를 거치고 있다"면서 "현재까지는 플라스틱카드의 보조수단이지만 추후 대체재의 역할을 하면 시장은 더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이 팽창기에 접어들었지만 카드업계는 고민이 많다. 다소 빡빡한 모바일카드 시장의 규제 탓이다.

관련기사



당장 플라스틱카드와 모바일카드를 동시에 발급해야만 하도록 한 규정이 시장확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지난 2008년 금융감독원의 지침에 따라 모바일 신용카드를 발급 받기 위해서는 실물인 플라스틱카드를 선발급 받아야만 한다.

해당 지침은 당시 신용카드사들이 신기술이던 모바일 신용카드 발급을 위해 금감원에 보안성 심의 결과를 통보하면서 첨부해 제공했던 내용이다.

하지만 카드업계는 자신들이 제시한 이 같은 지침이 이미 오래 전 얘기인데다 모바일카드에 플라스틱카드의 보조수단 정도로 여겨지는 인식을 심어줘 발급 유인을 저해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가족·법인·외국인에 대한 발급이 불가능한 상황도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지적한다.

카드업계의 한 관계자는 "법인폰을 사용하는 임직원이 모바일카드를 발급 받기 위해서는 개인 휴대폰을 별도로 보유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고 말했다. 물론 풀어야 할 숙제도 남아 있다. 최근 불거지고 있는 개인정보 보안 문제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급수단 이용행태 조사 결과 및 시사점'에 따르면 설문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로 정보유출 등 보안에 대한 우려를 가장 높이 꼽았다.

앱카드는 같은 구동방식의 해킹툴 앱을 통해, 유심방식은 무의식중 근거리에서 정보탈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안에 취약한데 이는 카드업계가 풀어야 할 숙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