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원자력硏, 원전 증기발생기 부식억제 기술 美 수출

국내 연구진이 원자력 발전소의 주요 부품인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하고 있는 부식억제제의 성능 시험 결과를 미국 주요 연구기관에 수출, 기술의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재료개발부 김동진 박사팀은 개발 중인 부식억제제의 성능 평가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미국 전력연구소 EPRI에 53만 달러를 받고 제공하기로 하는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원자력연구원은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과 협력해 이번 수출에 성공, 자체 개발 부식억제제의 성능 평가 결과를 오는 2015년까지 EPRI에 제공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원전의 안전성 및 경제성 향상을 위해 지난 2000년부터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부식을 획기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물질 개발을 추진, 전열관의 응력부식 균열 성장 속도를 절반으로 줄이고 연신율은 2배 이상 향상시키는데 성공하고 국내외 특허를 다수 획득했다.

관련기사



고온, 고압의 부식 환경에 노출돼 있는 전열관의 균열은 방사능을 띄고 있는 1차 냉각재 유출이라는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부를 흐르는 2차 냉각재에 특정 화학물질을 첨가해 전열관을 부식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부식억제제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EPRI는 이번 계약을 통해 제공 받는 자료를 포함해 부식억제제 주요 후보 물질에 대한 성능평가 DB를 구축해 회원사인 세계 유수의 원전 기관에 제공할 예정이다.

원자력연구원은 이 기술이 각 국의 가동 원전에 적용할 대표 후보군으로 선정될 경우 향후 해당 기술 상용화 이후 기술 수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