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리빙 앤 조이] 웃기는 예능 프로의 피튀는 시청률 경쟁

'무한 도전'등 MBC 독주 체제<BR> SBS, 같은 진행자 기용 추격전…KBS '미녀들의 수다'로 승부수

MBC '무한도전'

'여걸6'

'놀러와'

'무릎팍 도사'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 변웅전 아나운서의 ‘명랑운동회’까지 거슬러 올라갈 필요도 없다. 2007년 오늘, TV의 대세는 ‘예능’이다. ‘재주와 기능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라는 국어사전의 고리타분한 정의는 예능 프로그램 앞에선 어울리지 않는다. 드라마가 더 실속있다고? 천만의 말씀. 유장한 대하 사극이 아닌 다음에야 드라마 수명은 6개월도 안 되지만, 예능은 웬만해선 최소 1년의 ‘무한 생명력’을 자랑한다. 예능을 두고 펼치는 지상파 3사의 ‘치열한 전쟁’은 오늘도 멈추지 않는다. 그 예능의 ‘놀이터’에선 가짜 미스코리아도 찾고 다음주 개봉할 영화배우의 애환도 듣고 불구덩이에도 뛰어들고 심지어 잃어버린 문화유산도 찾는다. 2007년 4월 지상파 3사의 예능. 대한민국 ‘평균 시청자’들의 평균 코드를 살펴본다. ◇그들의 놀이는 진짜 놀이다=적어도 이 기사를 읽는 지금, 대한민국 예능의 대세는 MBC다. 그 중심엔 ‘무한도전’이 있다. 지하철과 100m 달리기를 겨루고 목욕탕에서 물빼기 시합을 하던 이들은 ‘슈퍼모델’ 도전을 넘어 드디어 ‘진짜 드라마’에도 도전했다. 반응은 별로였다. 그러나 되새겨보자. 말 그대로 ‘무한도전’이다. 이들이 찍은 드라마가 어설펐다고? ‘무한도전’이 언제 ‘멀쩡하고 만만한’ 도전을 해 본 적이 있던가? ‘황금어장’의 ‘무릎팍 도사’. 신해철에게 마약을, 이승철에게 표절 시비를 물어보는 이 ‘기괴한’ 토크쇼는 ‘무한도전’과 더불어 예능이 추구할 수 있는 ‘정교한 시나리오’와 편집 미학의 끝을 보여준다. 시청자들은 더 이상 ‘그들의 짜고 치는 고스톱’에 열광하지 않는다. SBS ‘X맨’이 아무리 로맨스를 만들어도 시청자들은 심드렁하다. 그 업그레이드 버전이 바로 ‘무한도전’과 ‘무릎팍 도사’다. 가상세계와 실제를 혼동하게 만드는 ‘예능’.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가상세계. 어쩌면 영상 미디어가 지난 100여년간 추구해 온 본질을 꿰뚫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두 프로그램이 당면한 숙제는 ‘진부하게도’ 더 새로운 걸 발견하는 일이다. 그들의 도전은 짜릿했지만 그만큼 식상함은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박명수 말대로 이제 시청자들은 “63빌딩에서 줄 없이 번지점프하는 걸” 원할 지도 모른다. 그렇게 뛰어내리는 순간 시청자들은 아예 태평양을 헤엄치라고 요구할 지도 모른다. ‘무한도전’ 정극 드라마가 반응을 얻지 못한 건 시청자들은 더 이상 그들의 ‘진솔함’만을 원하지 않는다는 반증이었다. ‘무릎팍 도사’에 개봉영화를 홍보하는 영화배우가 출연하면 심드렁해지는 이유도 그 원초적 식상함을 뛰어넘기 힘들기 때문이다. ◇“4주 안에 무한도전 따라잡겠다”=세상은 진화한다. TV도 진화한다. 당연히 예능 프로도 진화한다. 2007년 4월, 목표는 뚜렷하다. ‘무한도전’ ‘무릎팍 도사’보다 더 눈길을 끄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SBS는 지난 4년간 ‘SBS 예능’의 상징이었던 ‘X맨’을 과감히 구조조정시켰다. ‘X맨’의 폐지는 지난 몇 년간 예능의 대세였던 ‘짝짓기’와 ‘명랑 운동회’의 수명이 다 했다는 상징이다. 후속은 ‘하자GO’. 유재석 진행, 박명수ㆍ하하 보조진행에 올라이즈 밴드가 출연한다. MBC를 이기기 위해 MBC 스타를 전면에 내세운 형국이다. KBS는 고민 중이다. ‘공영방송’이란 태생적 한계는 SBS, MBC처럼 과감히 치고 나갈 수 없게 한다. 교양과 오락을 동시에 내세운다는 전략도 말처럼 쉬운 게 아니다. 그나마 최근 돋보이는 대표선수가 ‘미녀들의 수다’다. 미녀, 그것도 ‘우리말 잘하는’ 외국 미녀를 내세우는 전략만으로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 사오리, 에바 등 몇몇 게스트들은 벌써 인기스타 반열에 올랐다. 이번 봄 개편에 ‘미녀들의 수다’는 월요일 심야시간으로 전진 배치된다. 옛 것은 가고 새 것은 온다. 시청자들의 ‘골라 보는 재미’를 위해서 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