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벅스, 파격 양보로 음악업계와 공생구조 마련

음악사이트 벅스(bugs.co.kr)가 6일 회사를 사실상 음악업계에 넘겨주는 파격적인 양보로 업계와 '대타협'을 성사시켜 업계 전반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벅스는 그간 저작권 문제로 음악업계와 분쟁을 빚으면서 유료화 선언, 한국음원제작자협회(음제협)와의 타협 등을 통해 업계와 윈-윈(Win-Win)하는 관계를 맺고 싶다는 의사를 보여왔다. 그러나 서비스중지 가처분 결정 등으로 신곡 공급이 중단되면서 사용자 감소 추세가 뚜렷해지고 업계의 불신이 가시지 않자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업계와 지분을나눠 문자 그대로 공생하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결단을 내린 것. 업계도 그간 각 사별로 음악사이트를 만들어 각개 약진을 시도했으나 성적이 대체로 저조하게 나오자 최근들어 사이트 통합 등을 논의했지만 별 성과를 내지 못한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SK텔레콤 등 거대 이동통신업체와 대형 포털사이트 등이 잇따라 온라인음악 시장에 뛰어들자 자칫 이 시장을 몽땅 내줄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업계에서 커지면서 이번 합의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로 벅스는 그간의 분쟁을 모두 마감하고 새 출발할 수 있는 계기를 잡게 됐다. 음악업계가 직접 벅스를 경영하게 됨으로써 법적 분쟁과 음원 문제 등의 해결에적극 협조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벅스에 적극 반대해온 음반사ㆍ기획사 등도 앞으로 벅스 지분 60%의 분배를 둘러싼 업계 내부의 협상에서 소외되는 것보다 벅스에 협조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음제협 등 단체와 다수 음반사ㆍ기획사 등 다양한 구성원으로 이뤄진 업계가 이후 논의 과정에서 뜻을 모으지 못할 경우 벅스 관련 문제 해결이 늦춰질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정상화가 미뤄지면서 경영 위기가 커질 수 있어 벅스의 장래는 벅스 새경영진 등 음악업계의 협상 과정에 따라 정해질 전망이다. 벅스 관계자는 "음악업계가 추천한 인사를 벅스 새 대표로 모시는 등 회사 정상화를 위해 완전 '올인'했다"고 말했다. 또 "이제 벅스가 전체 업계의 회사로서 성공해 기업가치가 커지면 업계로 혜택이 돌아가게 됐으니 음반사ㆍ기획사들이 적극 도와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