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동산] 부동산시장에 '깡통주택' 등장

주식 시장이 침체되면서 문제가 됐던 `깡통계좌'에 이어 비슷한 침체기를 겪고 있는 주택 시장에서도 `깡통 주택'이 등장해 눈길을끌고 있다.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집주인이 전세를 끼고 은행 대출을 받아 구입한 주택의 경우 올해 전세값과 집값은 떨어진 반면 은행 이자율은 높아지면서 집주인의 자기자본이 모두 잠식된 채 급매물로 간간히 등장하고 있다. 이런 주택은 투자자가 자신의 돈과 증권사에서 빌린 투자금을 합해 사들인 주식가격이 융자금 이하로 떨어진 주식시장의 `깡통계좌'처럼 부동산 시장에서 `깡통주택'으로 불리고 있다. 깡통 주택은 급매물로 나와 주택가격 급락을 조장하거나 가격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분석이다. 깡통주택으로 바뀌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의 경우 주택가격에서 차지하는 전세가격의 비율은 평균 48%, 주택 구입시 융자금의 비율은 28%였기 때문에 주택구입가격의 평균 24%만 있으면 주택을 구입할 수 있었다. 1억원짜리 아파트를 예로 들면 전세금 4천8백만원에 은행에서 2천8백만원의 대출을 받는다고 할 때 자기자본은 2천4백만원만 있으면 살 수 있었던 셈이다. 그러나 지금은 집값이 평균 30% 떨어져 시세가 7천만원에 불과, 전세금과 융자금 7천6백만원을 빼고 나면 자기자본은 모두 잠식됐을 뿐만 아니라 은행 이자상환으로 모두 6백만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 깡통주택이 됐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런 주택은 집주인이 부도를 내 경매처분되면 경락가가 시가의 절반도 안되는 3천만∼4천만원에 불과해 세입자 전세금 반환도 어려운 처지가 되며 이 집주인에게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은 겨우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는 실정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올초 아파트의 경우 `깡통 주택'이 자주 나왔지만 지금은 거의 소진돼 있는 상태"라면서 "과거 제2금융권에서 싼 이자로 대출을 받아 지었던 다세대 주택은 현재 떨어진 집값이 세입자들의 전세금보다 적어 `깡통 주택'으로바뀐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