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낙랑문화, 그 본질과 여운

국립중앙박물관 '낙랑유물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은 평양 일대를 중심으로 한 낙랑지역 유물을 한 자리에 모은 특별전을 17일 오픈해 9월 2일까지 연다. 우리 고대문화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낙랑군의 역사적 위상과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조명하기 위한 기획전이다. 이번 전시에는 평양성 석암리 9호분에서 출토됐다는 금제허리띠고리(국보 제89호)를 비롯해 목마(木馬. 오야리 19호분 출토), 각종 명문 기와, 금속무기는 물론조작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는 이른바 봉니(封泥. 흙도장)도 여러 점 선보인다. 전시 유물 대부분은 일제 식민강점시절 조선총독부가 조선은 중국, 즉 낙랑군의 식민통치국이었으므로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는 것 또한 당연하다는 통치 이데올로기를 만들기 위해 계획적으로 발굴한 물품들이다. 일제 때 발굴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온 500여점 외에도 일본 소재 낙랑유물 39점과 우니나라 남부지역 출토 낙랑 관련 유물 150여점등 모두 700여점이 출품된다. 유물뿐 아니라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고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발굴단이 촬영한 유리원판 사진자료중 낙랑 관련 자료도 함께 공개되는데, 당시 유적 풍경이나 생생한 발굴 장면을 담고 있다. 일본에서 빌려온 전시품중에서도 양(羊) 모양 장식(평양 석암리 205호분 출토)과 청동세발솥(靑銅鼎. 평양 낙랑토성 출토), 금박유리구슬(金箔琉璃玉. 낙랑토성출토) 등은 국내에 처음 전시되는 품목으로 도쿄(東京)국립박물관과 도쿄대학 소장품이다. 한편 이번 특별전은 서울 전시에 이어 9월 25일부터 11월 4일까지 낙랑군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김해 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국립김해박물관에서도 열린다. 문의 (02)398-5000. 이용웅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