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미·씨티銀 통합 11월로 미뤄질 듯

씨티 서울지점 인수자금 증자 통해 조달

한미은행과 씨티은행 서울지점 통합작업이 한미은행 노동조합의 총파업 결의 등으로 인해 지연이 불가피해져 당초 예정보다 2개월 가량 늦은 11월께나 이뤄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한미은행은 씨티은행 서울지점을 포괄적 영업권 양수도방식으로 인수하는데 드는 자금을 증자를 통해 조달할 방침이다. 21일 은행권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한미은행은 노조가 고용안정과 경영권 독립,상장폐지 방침 철회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결의함에 따라 당초 9월로 예정된 씨티은행 서울지점과의 통합일정을 강행하지 않고 2개월 가량 연기하는 방안을 신중하게검토중이다. 이는 한미은행을 인수한 씨티그룹측이 한미은행과 씨티은행 서울지점 통합의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리한 통합 강행보다 노조문제를 먼저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미은행 노조는 지난 16일 총파업을 결의한 직후 쟁의조정기간이 끝나는 25일까지 사측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조흥, 외환은행 노조와 연대해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는 강경입장을 밝힌 바 있다. 노조는 지난 10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중재를 요청했지만 노사협상은 지난 15일 첫 노사협상에서 사측의 결렬선언 이후 전혀 진전이 없는 상태다. 이와 함께 한미은행이 씨티은행 서울지점의 자산과 영업권을 포괄적 양수도 방식으로 인수하는데 필요한 자금조달을 위해 증자를 실시하겠다는 입장을 금융감독원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한미은행이 씨티은행 서울지점과의 통합을 위해 제3자배정방식으로 증자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전하고 "그러나 증자의 규모나 시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확정된 내용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씨티은행 서울지점과의 통합작업에 필요한 자금을 자체 조달할경우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는 증자가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홍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