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총선 D-100… 선거체제 전환 잰걸음

4ㆍ15 총선이 10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한나라당과 민주당, 열린 우리당은 후보자 공모 등 총선 채비를 서두르고있다. 각 당은 이달 중으로 총선 기획단 또는 선대위를 발족시키는 등 선거체제로 전환할 계획이다. 무엇보다도 이번 총선은 노무현 대통령 측근비리 특검과 대선 불법자금 파문 등 최악의 정국 불안 속에 노 정권의 중간심판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선거법 개정 등으로 기존의 선거양태와 판이한 `게임의 룰` 속에 치러질 이번 선거는 그 결과에 따라 정국의 흐름이 180도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노 대통령이 총선을 `재신임`과 연계할 경우 선거전은 지난해 대선의 재판(再版)인 친노(親盧) 대 반노(反盧)간 대결양상으로 비화될 개연성이 높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야권은 노 대통령 집권 1년에 대한 심판의 의미를 총선에 부여하고 있다.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지 못할 경우 노 대통령의 잔여 4년 임기가 `식물정권`으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는 위기감을 느끼고있다.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는 5일 “이번 선거는 노무현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가 될 것이며 측근비리에 대해서는 분명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하고, “한나라당이 거듭나면 과반수 의석을 확보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주당 조순형 대표는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은 부패세력이며 유일한 중도 개혁의 대안세력은 민주당”이라면서 제1당으로의 도약을 자신하면서 “노무현 대통령이 총선을 재신임과 연계시킬 경우 명백한 선거개입”이라고 주장했다. 열린우리당 김원기 상임의장은 “제1당을 확신하고 있으며 총선후 뜻이 맞는 정치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과반의석을 확보할 것”이라며 총선후 정계개편 의향을 드러냈다. 그는 이어 재신임과 총선 연계에 대해 “대통령이 결정할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남문현기자 moonhn@sed.co.kr>

관련기사



남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