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공무원 비율 일본보다도 높아"

박재완 인수위 TF팀장, 盧대통령 발언 반박


“우리나라 공무원 비율은 일본보다 높다.” 박재완(사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부혁신ㆍ규제개혁TF팀장은 29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한국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조찬포럼에 참석해 “소득 수준과 국민부담률 등을 종합했을 때 현 정부는 지나치게 큰 정부여서 군살빼기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박 팀장은 특히 전날 노무현 대통령이 “참여정부가 왜 큰 정부냐”는 질문을 던진 것에 대해 조심스럽지만 조목조목 반박해 새 정부가 추진하는 정부 조직 개편안에서 후퇴할 뜻이 없음을 시사했다. 그는 “정치적 해명은 적절하지 않고 실무적 관점에서 해명하겠다”고 말문을 연 뒤 “노 대통령이 한국 정부가 세계에서 몇 번째로 크냐고 물었는데 유감스럽게도 ‘꽤 큰 정부’라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참여정부가 큰 정부라는 주장의 논거로 조세부담률과 국민부담률을 들었다. 그는 “우리나라의 조세부담률은 지난 1997년 18.0%에서 2006년 21.2%로, 국민부담률은 21.0%에서 26.8%로 높아졌다”면서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국가들의 조세부담률이 낮아지는 것과는 정반대로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팀장은 “국민부담률에 법정 부담금, 공교육 납입금, 군 복무에 따른 기회비용 등을 감안한 국민총부담률은 97년 25.1%에서 2006년 32.9%로 높아져 다른 OECD 국가에 비해서도 결코 낮지 않다”고 강조했다. 박 팀장은 “참여정부는 전체 인구 대비 공무원 비율이 2.8%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OECD 기준으로는 누락돼 있는 부분이 많다”며 “50만여명에 달하는 징집 병사 등을 포함하면 우리나라의 공무원 비율은 3.9%로 일본(3.5%)보다 높다”고 말했다. 그는 참여정부에 대해 “상층부는 너무 비대하고 참모와 위원회는 옥상옥 구조로 돼 있는 반면 옆으로는 조직이 파편화돼 서로 협의하고 조정하는 데 많은 비용과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의사결정이 더디고 몸도 무겁다”고 비판했다. 박 팀장은 통일부 존폐 논란에 대해 “현재 국회로 공이 넘어간 상태”라며 언급을 자제하면서도 “노 대통령이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우선 해당 국무위원만 선출, 새 정부 국무회의에서 이를 처리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경제규모 세계 12위 국가가 그래서야 되겠느냐”고 우회적으로 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