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유럽시장 환경장벽 높다] 의류.신발등 규제강화

유럽이 올들어 「환경」분야에 대한 감시의 눈길을 쩍 늘리고 있다.이같은 움직임은 특히 환경친화적인 부문을 장려하고 환경오염 요소를 억제한다는 두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으며 유럽뿐 아니라 미국·일본 등 주요 수출시장으로 확산되는 추세여서 국내기업들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4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최근 일부 유럽국가 및 유럽공동체(EU)는 올들어 환경친화적인 상품을 우대하는 정책을 확대시키고 있으며 환경파괴 물질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EU는 이미 지난 3월부터 환경친화 상품에 부여하는 에코라벨(ECO LABEL) 대상품목을 섬유 및 의류, 신발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 또 PC, 건전지, 샴푸 등에 대해서도 조만간 에코라벨 기준을 제정, 적용시킬 방침이다. EU는 또 지난달말 오존층 파괴물질인 프레온가스(CFCS)의 판매를 즉각적으로 금지시켰으며 신냉매인 HCFCS, 메틸브로마이드 등에 대해서도 국제 협약이 정한 시한보다 앞당겨 실시하기로 했다. 최근에는 덴마크가 중금속 오염물질인 납을 사용한 제품에 대해 수입 및 판매 금지 조치를 마련한다는 골자의 제안서를 EU에 제출키로 해 환경부문에 대한 유럽시장의 입장이 갈수록 강경해지고 있다. KOTRA관계자는 『유럽시장은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아 환경에 관한 각종 규제를 강화해나가고 있다』며 『이같은 움직임이 미국, 일본 등 주요 수출국으로 확산되는 양상이어서 국내 기업의 주의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김형기 기자 KKIM@SED.CO.KR

관련기사



김형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