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내년부터 '.kr' 대신 '.한국' 인터넷 주소 쓸 수 있다

방통위, 내년부터 한글 국가 도메인 도입 추진

내년부터 ‘서울경제.한국’처럼 ‘co.kr’ 이 아닌 ‘한국’을 국가 도메인으로 하는 한글 인터넷 주소가 사용된다. 영문 중심이었던 인터넷 도메인 주소를 완전한 한글로 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영어와 한글ㆍ영어 혼용의 인터넷 도메인을 완전한 한글 주소 도메인으로 쓸 수 있도록 ‘자국어(한글) 국가 도메인’ 도입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방통위는 이날 국내 인터넷주소관리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을 통해 국제인터넷주소기구에 ‘.한국’을 신청하고 올해 말까지 세부 등록규정, 도메인네임시스템(DNS)구축 등을 완료해 내년 초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기로 했다. 홍진배 방통위 인터넷정책과장은 “자국어 국가 도메인이 도입되면 한글 이용자의 도메인 사용 편의성이 높아지고 한글을 이용한 사업 홍보 등 인터넷 마케팅에 유리하며, 국제사회에 한글 문자의 우수성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국어 인터넷 도메인은 지난해 10월 제36차 국제인터넷주소기구(ICANN) 서울 연례회의에서 도입이 확정돼 지난해 11월16일부터 신청을 받아 현재 21개 국가가 신청했다.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아랍권 등 비영어권 국가에서 도입 논의가 활발해지자 국제인터넷주소기구(ICANN)가 기술개발, 표준화 등을 거쳐 도입을 결정했다. 국제인터넷주소기구는 국가 도메인(ccTLD)에 이어 올해 말 ‘서울경제. 회사’처럼 민간 자국어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도 도입할 예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 자국어 일반 도메인의 경우 국내외 법인 누구나 일정 요건만 갖추면 최상위 도메인 신청에 제한이 없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