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천시, 이주대책 요구에 ‘속앓이’

남항 항만시설지구 주민들 “혐오시설때문에 못살겠다”<br>20년전 아파트·기피시설 함께 허용으로 자초<br>비용 걱정속 “내달 용역결과 나오면 입장결정”


인천 남항 주변 항만시설지구내 4만2,000여평에 들어선 3,212세대의 아파트를 집단 이전해 달라는 주민들의 요구에 인천시가 딜레마에 빠졌다. 지난 80년초 인천시가 이곳에 아파트를 짓도록 승인해준 후 인근에 주민 기피시설 건립을 대거 허용해주는 바람에 20년이 지나면서 ‘아파트 이전’이라는 주민들의 집단민원에 부딪히게 된 것이다. 인천시 중구 항동 7가 항만시설지구내 라이프 비치맨션(2만6,000평) 2,008세대, 항운아파트(1만평) 510세대, 연안아파트(6,000평) 694세대 등 3,212세대 등 1만여명의 주민들은 “도로 하나를 건너면 언제 폭발할지도 모르는 대형 가스 유류저장소와 하수 및 분뇨 처리장이 옆과 앞에 있고 석탄부두, 모래 채취장 등의 소음과 먼지 등 공해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며 8일 인천시에 이주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지난달 31일 중구 항동 라이프 비치 주민 800명이 모인 가운데 이주대책위원회를 발족하고 인천시와 해양수산부 등 관계기관이 이주대책을 수립하지 않으면 도로점거 등 전면투쟁에 나서기로 결의하기도 했다. 주민들은 “반경 500m안에 석탄ㆍ시멘트ㆍ모래부두와 유류ㆍ가스저장소, 하수ㆍ분뇨종말처리장 등이 들어서 주거환경이 나빠지는 바람에 더 이상 살수 없는 지역으로 변했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인천시를 상대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400억원의 피해보상 재정신청도 내기로 했다. 인근의 항운아파트(510세대)와 연안아파트(694세대) 주민들도 재건축 승인까지 받고도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자 아파트 단지를 물류단지로 조성하는 대신 공동주택을 지을 수 있는 땅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 아파트가 들어선 지역은 항만관련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임항지구로 80년 초 건축허가 당시에도 큰 논란을 빚기도 했다. 결국 인천시는 지난 80년초 항만시설지구에 아파트를 승인 해 준 것이 화근이 돼 ‘이파트를 이전해 달라’ 는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놓고 고민에 막다른 골목으로 몰리게 됐다. 주민들의 요구에 대해 인천시측은 아직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들 아파트를 어떻게 처리할지, 이주하려면 택지가 있는 지 등을 인천발전연구원에 용역 중” 이라면서 “다음달 초 용역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인천시 입장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용역결과가 이주해야 한다고 나오더라도 이주비용과 부지 확보가 어려워 큰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라이프 비치 아파트는 모두 2008세대로 1980년부터 90년 사이에 3차례에 걸쳐 지어졌고 항운아파트와 연안아파트는 83년도와 85년도에 각각 준공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